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위기 상황에 한국프로축구연맹과 K리그1 울산 현대, 부산 아이파크가 임직원 급여 반납이란 특단의 조치를 시행했다. 개막 연기로 수입이 줄어든단 사실엔 누구나 공감하지만, 얼마 되지 않는 구단 직원들의 임금부터 깎고 보는 게 합당하냐는 지적도 나온다.
울산과 부산은 10일 “코로나19로 악화된 구단 경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급여 반납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관중·스폰서 수입, 중계권료 등의 감소가 ‘예측’돼 임원 월급의 20%, 일반 직원은 10%씩 반납해 고통을 함께 분담하기로 했단 것이다. 지난 8일 연맹이 발표한 급여 반납 비율과 같은 수치다.
하지만 아직 개막 시점도, 경기 수 감소도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결정은 성급하다는 지적이다. 정확한 피해 수치를 알 수 없어서다. 부산은 급여 반납의 근거로 메르스 때 관중이 65% 급감했던 점을 들었지만, 이는 5년 전이다. 이번 결정이 타 구단들에도 영향을 미치는 건 더 큰 문제다. 영세한 구단의 저연차 직원들에겐 급여 반납이 생계를 위협할 수 있어서다. K리그2 구단 관계자는 “직원 연봉이 2000~3000만원 수준인데, 10%나 깎는 것은 부담이 크지만 구단 결정을 따를 수 밖에 없다”고 털어놓았다.
이번 결정이 구단 지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선수 연봉을 삭감하기 위한 사전 움직임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한 시민구단 관계자는 “신입사원들은 지금도 최저임금을 받고 있다”며 “구단별로 20명도 채 안되는 직원들의 급여를 10% 깎는다고 재정에 큰 도움이 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단이 선수들에게 강제로 고통 분담을 요구할 수 없어 직원 급여부터 ‘상징적으로’ 손을 댔다는 추측이 나오는 이유다.
축구 산업을 둘러싼 손실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크다면, 해외 미담 사례처럼 선수들이 자발적으로 급여 일부를 기부하는 게 최선일 수 있다. 하지만 그 전에 연맹-구단-선수들 간 손실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한 상황 공유가 필요하다. 신인 선수의 올해 연봉은 2400만원일 정도로 선수들 간에도 임금 격차가 크다. 정확한 정보를 알아야 선수들끼리도 분담 금액을 논의할 수 있다.
과반수 이상의 프로선수들이 소속된 프로축구선수협회 관계자는 “정확한 지표를 근거로 임금 반납 결정이 나온 게 아닌 것 같아 씁쓸했다”며 “이근호 회장을 비롯한 선수들도 위기 상황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 중이다. 연맹, 구단이 선수들과 생산적 대화에 나서는 게 우선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동환 조효석 기자 huan@kmib.co.kr
신입사원은 최저임금 받는데… 임직원 임금 깎는 K리그 구단들
입력 2020-04-14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