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피해를 입은 문화예술관광 분야 종사자들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긴급활동 지원, 취약근로자 보호, 공공시설 입주단체 임대료·사용료 감면 등 3개 분야 총 103억원 규모다.
장영근 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13일 영상 브리핑을 통해 “도내 문화예술관광 분야는 작년 아프리카돼지열병부터 코로나19까지 재난상황을 맞아 6개월 이상 장기침체에 빠져있다”며 “경기문화재단, 경기관광공사,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아트센터, 한국도자재단 등 5개 공공기관과 협업해 문화예술관광 분야 지원을 위한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재원은 5개 공공기관의 기본재산 활용 등으로 35억원, 사업재편으로 63억원 등 총 98억원을 확보했다. 여기에 임대료·사용료 등 감면액 5억원이 포함됐다.
전업 예술인, 도예인, 영화종사자, 인디뮤지션, 프리랜서 강사 등 2413명과 예술단체, 관광업체, 펜션업계, 관광식당업계, 지역서점, 콘텐츠기업, 공공시설 입주업체 등 1732개 단체를 지원한다. 긴급활동 지원 분야는 10개 사업을 추진해 1500명 및 1046개 단체를 지원한다.
위기에 처한 예술인 1000명을 지원하는 ‘백만원의 기적’, 도민들이 유료관광지와 펜션 등 숙박권 가격을 최대 7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선구매하고 할인금액의 일정액을 관광업계에 지원하는 ‘착한여행 캠페인’, 도예업체에 특례보증을 통해 업체당 최대 1000만원의 자금을 2.8% 내외의 저렴한 금리로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는 ‘도예인 상생 특례지원’, 경기아트센터 공연장을 활용해 도내 공연단체를 대상으로 무관중 공연 및 온라인 방송을 지원하는 ‘방방콕콕, 예술방송국’ 등이 주요 내용이다.
취약근로자 보호 분야에서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과 지역서점 배송비용 지원 사업 등 7개 사업을 통해 활동이 중단된 예술강사, 영화종사자, 공예인, 인디뮤지션, 미디어센터 활동강사 등 프리랜서 등 913명과 500개 단체를 지원한다.
도립 박물관·미술관, 경기상상캠퍼스, 경기문화창조허브, 임진각 및 평화누리 등 공공시설에 입주해 있는 186개 업체에겐 임대료·사용료를 감면한다.
장 국장은 “이번 대책은 나눠 주기식 접근보다는 문화예술관광 분야의 경쟁력 확보와 생태계 유지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