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코로나 진정되더라도 금융위기 수준 충격”

입력 2020-04-13 04:02

한국은행은 올 상반기 중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더라도 세계 경제가 2008년 금융위기 수준의 충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 조사국 국제종합팀은 12일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전염병 확산이 2분기 중 진정되더라도 세계 경제에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버금가는 수준의 충격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확산이 주요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만큼 세계 경제에 ‘전례 없이 큰 충격’을 줄 것이라는 게 이들 예상이다. 국제종합팀은 “미국 중국 EU 일본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67.9%”라며 “이들 국가의 경기 부진은 직접적인 세계 경제성장률 하락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유로지역 등 선진국은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만큼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확산 억제 조치로 경제활동이 더욱 위축될 것으로 판단됐다. 2018년 기준 주요국별 서비스업 비중은 미국 80.6%, EU 73.4%, 일본 69.6% 등이다. 국제종합팀은 서비스업 부진이 고용상황 악화→가계소득 감소→소비 부진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2001년 미국 ‘IT(정보기술) 거품’ 붕괴 등 주요국 경제가 충격을 받을 때마다 해당 국가 교역이 줄면서 세계 교역도 감소를 면치 못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기 여파가 컸던 2009년 세계 교역은 23% 줄었다.

국제종합팀은 “(과거 경제위기 사례를 보면) 주요국 간 교역보다 여타 지역과의 교역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며 “주요국 경제 부진이 주변국 수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한국은 주요국에 대한 GDP 대비 수출 비중이 24.3%로 아세안(26.7%) 다음으로 높다. 주요국 동반 부진에 따른 교역 축소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나라라는 의미다.

해외여행 급감을 중심으로 한 인적 교류 위축, 주요국 중간재 생산 차질에 따른 공급망 훼손, 실물 부진 장기화로 인한 취약국가 재정·외환 위기와 기업 신용경색 심화도 코로나19의 간접 파급 경로다.

국제종합팀은 1957년 아시아 독감과 1968년 홍콩 독감 등 과거 세계적 감염사태가 2차 확산과 함께 1~2년간 지속된 점에 주목하며 “(코로나19) 2차 확산이 나타날 경우 올해 중에는 주요국 경제활동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