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흥주점·학원발 확산 우려… 방역 고삐 다시 조여야

입력 2020-04-09 04:05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째 50명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방역 당국이 제시한 생활방역 전환 기준의 하나인 ‘일평균 신규 확진자 50명 이하’에 근접하는 듯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건 다행이다. 그러나 결코 안심할 수 없다. 지난 2월 중순 5일간 신규 확진자가 없다고 방심했다가 방역망 밖에서 나온 29번 환자를 신호탄으로 확진자가 급증했던 일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규 환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는 건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서울 강남 대형 유흥주점의 종업원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노량진 공무원 입시학원에 확진자가 다녀간 사실이 드러나 집단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주말 인구 이동량이 확진자 폭발 이전으로 돌아가는 등 긴장감이 풀리는 모습이 나타났는데 다시 방역의 고삐를 바짝 조일 필요가 있다.

정부가 한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는 나라에 대해 사증면제와 무사증입국을 잠정 정지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입국자 가운데 외국인 비율이 10% 정도지만 감염자 해외 유입 문을 조금이나마 좁힐 수 있고 치료와 자가격리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부가 전국의 학원 및 교습소에 대해 운영 중단을 권고하고 서울시가 룸살롱, 클럽 등 영업 중인 422개 유흥업소에 대해 오는 19일까지 사실상의 영업금지 명령을 내린 것도 시의적절한 조치다. 업소들은 영업 차질이 불가피하지만 조치에 적극 협조하길 바란다. 학원의 경우 영업을 하겠다면 최소한 마스크 착용, 사람 간 거리 유지, 출입자 명단 작성 등 방역 지침을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방역 당국은 현장 점검을 강화해 지침을 어기는 학원에 대해서는 집합금지 명령, 고발 등 강력 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