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 사망 단 1명… 그 뒤엔 발빠른 현장 투입 신속대응단 있다

입력 2020-04-08 04:01
서울시 의료진이 지난달 11일 서울 구로구 코리아빌딩 앞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있다. 윤성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의 전쟁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최후 전선은 수도권이다. 대구·경북 지역의 감염 확산은 줄어든 반면, 수도권에선 계속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인구밀집 지역인데다 해외 유입 및 유동 인구가 많아 집단감염 발생 위험이 높다.

수도권의 중심, 서울은 7일 현재 확진자가 581명(전국의 5.6%)이고 사망자는 단 1명이다. 그것도 말기 폐암환자여서 코로나19가 직접적 사인이라 여겨지진 않는다. 그 비결은 확진자가 발생하면 곧장 투입되는 ‘집단감염 신속대응단’에 있다.

서울시·구 집단감염 신속대응단 설치 및 운영지침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6일 수도권 집단감염 방지 대책을 요청하자마자 시작됐다. 신속대응단은 서울시와 자치구들이 합동으로 운영하는 조직이다. 서울시 신속대응단은 공공보건의료재단 대표이사 또는 감염병 전문가가 단장을 맡는다. 자치구 신속대응단은 부구청장이 단장, 보건소장이 부단장이다.

신속대응단에는 총괄반(6명), 역학조사반(22명 내외), 모니터링·접촉자관리반(28명 내외), 자료분석반(4명)이 꾸려져 감염 관리 대상자 검사, 역학조사를 통한 최초 감염원 및 접촉자 발굴, 자가격리자 및 능동감시자 모니터링 등을 수행한다. 전문 행정관료와 의료 전문가, 방역 전문가, 정보통신(IT) 전문가 등이 모인 민·관 합동 기구다.

신속대응단은 1명 이상의 확진 환자가 발생한 병원 및 의료기관, 최초 발생 후 이틀 이내 10인 이상 확진자가 발생한 교회 등 종교시설, PC방 등 다중이용시설, 콜센터 등 직장시설, 중대한 집단감염 피해가 우려돼 구청장이 요청하는 경우(학교, 어린이집, 요양시설, 장애인 거주시설 등)에 즉시 현장에 투입된다.


관리 대상 분류도 체계적이다. 구로구 콜센터의 경우 1~6층(예식장 등으로 확진자 미발생), 7~10층(기타 콜센터 및 교육실로 확진자 소수), 11층(A콜센터로 확진자 집단발생), 13~19층(주거 오피스텔로 확진자 미발생)으로 분류해 확진자 확인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역학조사는 기초조사와 심층조사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을 파악한 후 GPS(위성항법시스템),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카드 정보를 조회하고 현장 CCTV를 확인해 접촉자 범위를 확정한다. 통신기지국 접속 자료를 활용해 특정되지 않는 간접 접촉자들도 찾아내 집단문자를 보낼 정도다.

상황이 종료되면 대응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와 보완사항을 정리해 사례 보고서로 작성,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수정해 추후 발생하는 사례에 적용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달 30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언론에 잘 안 알려져 있지만 특별한 비법이 하나 있는데 그게 신속대응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 은평구 서울재활병원이 대표적 사례다. 지난 2월 25일 직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나 신속대응단을 중심으로 서울시와 은평구, 병원 등이 공동 대처해 병원 내 감염을 원천 차단했다. 김창보 서울시 공공보건 의료재단 대표는 “이 병원은 밀접접촉이 많은 장애인 전문병원이라 확산 위험이 매우 컸지만 감염관리 활동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방역수칙을 적용해 병원내 감염을 막은 모범적 사례”라고 평했다.

서울시의 집단감염 신속대응단은 전국적인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의 코로나19 방역 노하우를 공유해달라는 해외 유수 도시들의 요청도 쇄도하고 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