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손소독제 등 개인위생 관련 상품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 출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2014년 4143건이었던 개인 위생 관련 물품의 상표 출원이 지난해 6710건을 기록하며 5년 만에 62%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개인 위생 관련 상품의 상표 출원 증가세는 코로나19가 본격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 2월부터 두드러지게 높아지기 시작했다. 1월에는 지난해 1월(604건)보다 16.2% 적은 506건이 출원됐지만, 코로나19 유행이 본격 시작된 2월에는 전년도 2월 473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950건이 출원됐다. 3월에는 1418건으로 역시 지난해 3월 626건보다 792건 증가했다.
마스크를 지정상품으로 하는 2~3월 상표 출원은 전년 대비 약 2.6배 증가한 789건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총 304건의 상표가 출원됐다.
개인 위생 관련 상표 출원의 증가는 산업화 등에 따른 생활폐기물의 증가, 황사·미세먼지 등이 사회문제로 떠오른 것과 관련 있다고 특허청은 설명했다. 특히 사스(SARS)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신종플루, 코로나19 등의 감염병이 확산되기 쉬워진 환경도 개인 위생관련 상표 출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사스가 유행했던 2003년에는 전년대비 105% 상표 출원이 증가했고, 신종플루가 유행한 2010년에는 전년대비 12%, 메르스가 유행한 2015년에는 전년대비 9.1% 증가했다.
문삼섭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코로나19 등 감염병이 주기적으로 유행하면서 당분간 개인 위생 관련 상표 출원이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