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거주 해외입국자 전원 코로나 검사한다

입력 2020-04-03 04:01

서울 거주 해외입국자는 전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게 된다. 지금까지는 유증상자만 입국시 공항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고, 대부분의 무증상자는 거주지나 임시 생활시설에서 14일 자발적 자가격리토록 하는 데 그쳐 관리에 한계가 있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일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잠실종합운동장에 대규모 ‘해외입국자전용 워킹스루 선별진료소’를 설치해 3일부터 서울 거주 해외입국자 전원에 대한 진단검사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진료소는 하루 약 1000명의 검체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증상 감염자로부터의 지역사회 감염위험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해외입국자 중 무증상자에게 적용되는 정부의 ‘일단 자가격리, 증상 발현 시 진단검사(유럽발 입국 내국인은 3일 내 가까운 선별진료소에서 검사)’ 방식은 무증상자들이 무증상 감염일 경우 약점이 생긴다. 이들이 자가격리를 어긴 채 거리를 활보하면 지역사회가 감염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되는 셈이다.

반면 해외입국자 전원을 검사하게 되면 무증상 감염자를 일찍이 걸러낼 수 있다. 박 시장은 “해외입국자들이 자가격리 이후 선별진료소에 나와 검사를 받는 것이 위험하고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아 선제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단 입국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다고 하더라도 잠복기인 2주 동안 자가격리는 지켜야 한다. 또한 발열 등 증상이 발현되면 즉시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한편 박 시장은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와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을 중복 지급한다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 앞서 예산문제로 정부 지원금 삭감 방침을 밝힌 일부 지자체와 달리 서울시 자체 지원금 최대 55만원에 정부 지원금 최대 100만원을 중복 지급하겠다는 뜻이다.

앞서 경기도는 자체 지원금은 예정대로 지급하는 대신 정부 지원금에 대한 지자체 분담율 20%는 지원치 않겠다고 발표했다. 예컨대 소득 하위 70% 경기도 광명 1인 가구의 경우 도 지원금 10만원과 시·군 지원금 5만원은 약속대로 지급하지만, 추후 정부 지원금은 정부가 약속한 40만원이 아닌 32만원(40만원의 80%)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코로나19로 매출이 격감한 사회적기업 등에 총 150억원 규모 특별융자를 지원하기로 했다. 최저 0.5%의 저금리로 기업당 최대 3억원까지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상가 임차인들의 6개월 간 상가 임대료를 50% 인하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