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코로나 청정국’… 북한도 방역 인프라 구축 본격화

입력 2020-04-03 04:08
북한 평양의 평천구역병원 입구에서 1일 간호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방문자의 체온을 재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가 1명도 없다며 ‘코로나 청정국’을 자칭하는 북한이 의료·방역 인프라 구축에 부쩍 열을 올리고 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역점 사업인 최신식 종합병원 건설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과시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방역 관련 법제도 개선했다. 우리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처음으로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의 대북 지원을 승인했다.

노동신문은 2일 “평양종합병원 건설장에 비약과 혁신의 기백이 차 넘치고 있다”며 “지금 건설에 참가한 시공 단위들 사이의 세찬 경쟁열풍이 휘몰아치는 속에 기초굴착이 63% 계선을 넘어섰으며 기초 콘크리트 치기가 동시에 힘 있게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굴착작업이 맹렬히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기계 및 대형 화물자동차 운전사들 사이의 경쟁이 본때 있게 벌어지고 있다”고도 했다.

평양종합병원 건설은 김 위원장이 각별히 관심을 보이는 사업이다. 김 위원장은 최근 병원 착공식에 참석해 “(지난해 말) 전원회의에서 자기 나라 수도에마저 온전하게 꾸려진 현대적인 의료보건시설이 없는 것을 가슴 아프게 비판했다”는 자책성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창궐하는 상황에서 주민 건강을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북한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방역 법제에 반영하기도 했다.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전염병예방법을 수정·보완해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민주조선은 “(개정 법률은) 전염원의 적발과 격리, 전염경로 차단, 비상방역을 비롯해 전염병 예방과 관련한 법적 요구들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다”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얻은 경험에 기초해 보다 현실적 조건에 맞게 수정·보충됐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처음으로 대북 민간 지원을 승인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달 31일 요건을 갖춰 신청한 민간단체 1곳에 대한 대북 반출을 승인했다”며 “승인한 주요 물품은 손소독제 등으로 1억원 상당”이라고 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