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바람이 부는 3월부터 5월까지 산불이 집중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강풍이 가장 많이 부는 4월에 연간 산림피해 면적의 45%(386㏊)가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연 평균 440건이며, 이로 인해 857㏊의 산림이 사라졌다. 특히 지난해에는 연 평균보다 1.5배 많은 653건의 산불로 예년의 3.8배 많은 3255㏊의 산림이 불에 탔다.
전체 산불의 68%가 강원과 경기, 전남, 경북, 경남에서 발생했고 산림 피해도 88%로 가장 크다. 이 중 강원은 전체 산림 소실의 63%를 차지해 피해가 가장 컸다. 지형적 특성과 맞물리는 높새바람과 양간지풍 영향이 크다.
정부는 산불 발생 시 주관 기관인 산림청을 중심으로 행정안전부, 지자체, 소방청 등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공조와 초동대응으로 소중한 인명과 재산, 산림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다할 계획이다. 24시간 산불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강풍과 건조 특보가 동시에 발령되는 지역에 전국 2만여 명의 산불감시인력을 집중 배치할 계획이다.
대형산불 위험이 높은 강원 동해안 6개 시·군 지역에선 불법소각을 단속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특히 청명·한식(4~5일)을 전후로 공원묘지 주변과 사찰, 무속행위지 등에서의 입산자 실화 예방을 위해 담당공무원 책임제를 실시한다.
산림청은 전국 산불진화 헬기 116대와 유관기관 헬기 52대 등 총 168대의 헬기 지원체계를 모두 가동해 초기 대응에 나선다. 헬기 지원이 어려운 경우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투입해 24시간내 산불을 진화할 예정이다.
김재중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