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진표 짜여진 총선… 제대로 심판하자

입력 2020-03-28 04:01
제21대 국회의원 후보 등록이 27일 마감되면서 4·15 총선의 대진표가 짜여졌다. 이번 총선은 문재인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와 함께 지난 4년간의 여야 의회권력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 내려진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중차대하다. 정권을 심판할지, 야당을 심판할지를 놓고 이제 유권자들의 고민이 시작됐다. 특히 이번 선거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유례 드문 국가 위기 상황 속에서 치러진다. 위기 수습을 앞당기기 위해서라도 유능하고 일 잘할 수 있는 의회권력을 뽑아야 한다.

하지만 여야는 후보 등록 막판까지도 유능함을 경쟁하기는커녕 누가 더 꼼수를 잘 부리고, 편법에 앞장서는지만 다퉜다. ‘위성정당’ ‘가짜정당’이라는 해괴망측한 정당들이 떼로 나오는가 하면, 의원 꿔주기와 공천 뒤집기가 아무렇지도 않게 이뤄졌다. 위성정당들끼리도 ‘적자정당’이니 ‘서자정당’이니 하면서 진흙탕 싸움을 벌였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결과적으로 거대 양당들이 비례대표를 싹쓸이하기 위한 제도였다. 그들은 소수정당에 밥알 한 톨도 안 남긴 건 물론, 밥그릇을 설거지한 물까지 다 들이마신 것이나 다름없다.

공천 결과도 더 나쁠 수 없을 정도로 엉망이었다. 청년층을 많이 배려하겠다더니 은근슬쩍 올드보이를 비례대표 후보로 내세웠고 선거를 지휘하는 이들도 대부분 올드보이들이다. 투기 의혹이나 음주운전 이력이 있거나 막말로 물의를 빚은 인사들을 대놓고 공천했고, 향후 재판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모를 상황에서 기소된 자들까지 버젓이 후보로 내세웠다. 아울러 여성 후보 가산점까지 도입하며 설레발을 쳤지만 정작 공천에서 여성 정치인들은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다.

정말 투표하고 싶지 않을 정도지만 그래도 어떡하겠는가. 국회의원을 한번 잘못 뽑아놓으면 향후 4년은 물론, 그 이후의 국가 미래까지 망칠 수 있다는 걸 우린 잘 알고 있다. 그래서 국민의 대표자를 뽑는 소중한 권리를 이번에도 절대 포기해선 안 된다. 뽑고 싶은 사람이 없으면 차악의 후보에게라도 투표해야 나라가 덜 망가진다. 아울러 전 세계가 한국 총선을 지켜보고 있다. 코로나 대응을 잘했다는 평가를 받은 우리가 선거를 연기하지 않고도 다수의 유권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적 행사를 잘 치러낼지를 눈여겨보고 있다. 이를 위해선 손을 꼭 씻은 뒤 투표장에 가고, 발열증상이 있을 경우 투표장 대신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하는 등의 투표 행동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어느 때보다 안전하고, 또 독하게 심판하는 21대 총선이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