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가 전지구적 확산(펜더믹)되면서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 사업도 차질을 빚게 됐다. 해외 수주의 경우 유가 폭락과 이란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사업 추진에 발목을 잡혔다. 재개발·재건축 등 국내 수주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행에 따라 조합원 총회도 잠정 연기되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이같은 악재에 건설주의 주가도 하향세를 기록하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외부적 악재가 있는 만큼 기존의 해외수주 사업이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코로나19 중동발 리스크 확산에 해외 수주 ‘주춤’ =코로나19 여파가 세계적 유행으로 확산되면서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가 주춤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초 국내 대형사들의 해외수주가 전년 대비 40% 이상 확대되면서 기대감을 모았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동 지역까지 퍼지면서 사업에 차질을 빚게 됐다. 현재 중동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이란의 코로나19 감염 확진자 수(3월 23일 기준)는 2만3049명, 사망자 수는 1812명에 달한다.
중동발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에 유가도 크게 하락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23일(미국 현지시간) 배럴당 23.36달러에 거래가 마감됐다. 지난해 12월 국제유가가 60달러 선으로 상승하기도 했으나 코로나19 감염이 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면서 20달러 선까지 하락했다.
이같은 악재로 공기(공사기간)이 지연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운영되는 현장에서 공기가 연장되면 귀책사유를 시공사에 묻는 경우가 많아 공기 연장 지연에 따른 부분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국내 재개발·재건축 사업 추진도 ‘주춤’…조합 총회 연기 속출=국내 재개발·재건축 사업 진행도 코로나19로 사실상 올스톱 상태다. 실제 이달 21일 조합 관리처분계획변경 총회를 열 예정이었던 은평구 수색7구역 조합이 총회를 5월 18일 이후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강남구 재건축 조합도 일제히 총회를 연기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개포주공1단지와 신반포3차를 비롯한 11개 조합이 모두 총회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수그러들지 않은 이상 당분간 사업 진행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유수환 쿠키뉴스 기자 shwan9@kukinews.com
건설사 수주 사업 ‘갈수록 태산’
입력 2020-03-29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