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이 가정에서 스마트 기기로 학교 수업을 듣고 이를 정식 수업으로 인정하는 ‘온라인 개학’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개학 예정일인 다음 달 6일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부터 안전한 개학이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질 때까지 마냥 개학을 미루기 어려운 상황에서 나온 고육지책인데 학교 현장의 혼란과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5일 서울 영등포구 교육시설공제회관에서 열린 ‘학교 원격교육 지원을 위한 관계기관 온라인 업무 협약식’에 참석했다. 협약식에는 시·도교육청,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참여했다. 유 부총리는 이날 원격 교육 시스템 시연 행사를 갖고 실제 학교에서 적용 가능한지 점검했다.
유 부총리는 “원격으로 이뤄지는 수업을 학교의 수업일수·시수로 인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감염증 상황에 따라 등교 개학과 온라인 개학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안전한 신학기 개학을 준비하고 있으나 학교나 지역 사회에서 학생이나 교직원이 감염될 경우 휴업이 연장될 가능성에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여러 선택지를 고민하고 있다. 먼저 다음 달 6일 정상적으로 개학하는 방안이 있다. 이 경우 학생 수백만명이 움직이게 돼 학교를 매개로 하는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커진다. 온라인 개학이 선택지로 떠오른 이유다.
원격 수업은 세 가지 방식이 있다. 과제형은 교사가 학습자료와 퀴즈를 올리고 학생은 과제를 제출한다. 단방향 학습콘텐츠 활용 수업은 교사 자체 제작 또는 외부강의 동영상을 활용해 퀴즈와 토론을 하는 방식이다. 쌍방향 원격강의는 실제 수업과 가장 흡사하다. 화상회의처럼 교사 얼굴을 보고 수업을 듣고 소통하며 학습 자료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다만 쌍방형 원격강의 시스템은 일부 학교에만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당장 모든 학교로 확산하기 어렵다.
지역별 코로나19 위험 정도에 따라 학교급(초·중·고)별로 정상적인 교실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혼용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원격 수업이 여의치 않을 경우 개학 날짜를 다음 달 6일에서 좀 더 미룰 수도 있다. 이러면 학교 현장이 원격 수업을 원활히 하도록 시간을 벌 수 있다. 결론은 오는 30일~다음 달 1일 나올 예정이다.
하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원격 수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많다. 보호자가 옆에서 지도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할 경우 학력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학급당 학생 수가 적은 학교와 신도시 과밀학급의 학습 여건 차이도 문제다. 도농 간 격차, 장애학생 지원 방안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교육부는 다음 주부터 원격 수업 시범학교를 운영해 온라인 개학에 대한 문제점과 보완점을 살펴볼 예정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