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경영난을 겪는 등 최악의 상황에 처한 가운데 청주국제공항을 기반으로 한 신생 LCC 에어로케이에서 때아닌 ‘경영권 분쟁’이 일고 있다.
2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에어로케이는 오는 31일 주주총회를 열고 경영진 교체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에이티넘파트너스가 최대주주로 있는 에어이노베이션코리아(AIK)는 지난 6일 이사회를 열고 100% 자회사인 에어로케이 사내이사에 박장우 에어로케이·에이티넘파트너스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선임하는 등 총 8명인 이사회의 절반을 넘는 숫자를 교체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에이티넘파트너스는 1조원을 가진 거부로 알려진 이민주 회장이 설립한 투자회사다. 반면 현 경영진은 운항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이전에 경영진을 교체할 경우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반대한다.
항공업계 일부에서는 항공 당국이 코로나19로 인한 업계 경영난을 지원하는데 시선이 쏠린 틈에 이 회장을 필두로 한 세력이 에어로케이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조치라고 해석한다. 결격사유가 없는 적임자를 대표자(현 강병호 대표)로 내세워 항공면허를 취득한 뒤 곧바로 경영진을 교체하는 ‘면허우회행위’라는 것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이 과거 국내 기간사업체를 해외투기자본에 매각한 점, 일가가 외국인 국적인 점에 대한 거부감이 없지 않다. 자칫 일종의 투기자본이 모회사를 내세워 자회사를 간접적으로 경영하는 방식이 허용될 경우 외국인이 국내 항공사를 지배하는 사태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청주공항을 중부권 허브공항으로 키워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던 충북도는 에어로케이의 내분이 운항 실패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고 우려한다. 경영권 분쟁 끝에 실패의 길을 걸었던 한성항공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유철웅 충북선진포럼 상임의장은 “에어로케이는 사기업이지만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사업계획을 믿고 도민 등 지역사회가 도왔었다. 경영권 분쟁으로 운항에 차질이 빚어지면 집단행동에 나설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투기자본이 항공사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항공안전에 위협을 가할 경우 면허 취소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미 국토부는 지난해 3월 에어로케이가 국토부로부터 항공운송면허를 획득하자마자 현 강 대표이사를 해임하려던 에이티넘파트너스의 움직임을 저지한 바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무리하게 경영진을 교체하려는 움직임이 안전 운항에 영향을 미친다면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박구인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