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정책, 턴어라운드 필요… 가을철 재유행 가능성도 대비해야

입력 2020-03-24 04:0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후 2개월여 만에 임상 전문가들이 정부 정책의 ‘턴어라운드’(전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 달 전부터 사회적 거리두기에 나선 정부는 개학 연기 등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팬데믹(대유행) 종식이 요원한 상황에서 일상 기능을 무한정 정지할 수는 없다는 판단에서다. 가을철 재유행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명돈(사진)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은 23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구 60%가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가졌을 때 확산을 멈출 수 있는데 면역력은 백신을 맞거나 감염 후 회복되면서 자연 면역을 획득하는 방법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백신 개발까지는 최소 1년은 기다려야 해 단기간 내 면역력을 획득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임상위는 정부가 다중이용시설 운영 중단, 개학 연기, 재택·원격근무 등의 방역 정책으로 대규모 집단감염은 막고 있지만 이를 지속하긴 어렵다고 내다봤다. 경제가 무너지고 교육 기능이 마비되면서 사회·경제적 타격이 크기 때문이다.

오 위원장은 “한없이 억제 정책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당장 학교 개학을 앞두고 억제 정책과 완화 정책이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이해하고 사회적 협의와 대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개학 연기 기간이 끝나는 다음 달 초에는 억제 정책을 계속할지, 완화 정책으로 바꿀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다. 오 위원장은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코로나19 유행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처럼 종식할 수 없고,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며 “개학을 한다면 어떻게 전파되지 않도록 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놔야 한다”고 말했다.

임상위는 개학을 하면 일시적으로 유행이 다시 번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여름이 지나고 가을철에 대비할 정책도 주문했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환자들이 어떤 경우에 중증이 되는지, 초기 경증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타당한지 등을 알고 있어야 가을에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한 달여 전 31번 확진자(신천지)가 발생한 직후 수준으로 돌아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64명 발생해 총 확진자는 896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