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 전면적 확대

입력 2020-03-23 04:02
22일 서울 시내 한 영화관에 좌석간 거리 두기 시행으로 예매 화면에 한 줄씩 비워진 예매 가능 좌석이 표시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전방위적인 대책을 정부가 내놨다. 대중교통 이용 시 승객들이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방역체계를 구축하고, 정부세종청사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한 만큼 모든 정부·공공기관은 대면접촉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2일 대중교통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전·현장 예약이 가능한 철도와 항공, 고속버스는 좌석을 창가부터 배치하는 등 좌석 간 거리를 두는 것이다. 철도와 항공은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고속버스도 해당 방안 도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 같은 좌석 배치는 현재 승객 수가 60~70% 급감하면서 시행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은 강제로 자리를 배치할 수 없지만 정부·공공기관이 시차 출퇴근제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혼잡도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인사혁신처는 ‘공무원 복무관리 특별 지침’에 따라 시차 출퇴근제를 포함해 일부 인원 원격근무 의무화, 영상·서면보고 활용을 고지했다. 일반 사업장과 마찬가지로 아픈 직원은 즉시 귀가 조치하고, 모든 직원은 퇴근 후 모임을 자제하고 바로 집에 가도록 권고했다.

정부 산하 공공시설은 문을 닫거나 기능을 축소한다. 수련원, 연수원, 도서관, 수영장과 국방 관련 시설, 국립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기관은 운영을 중단한다. 공공임대주택 내 다중이용시설 운영과 수용시설의 민원인 접견, 소년원·치료감호소의 외부 봉사 및 체험학습 등도 중지된다.

외교부는 국외 출장이나 외교단 행사를 자제하고, 법무부는 수용자들의 이동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장병의 외출·외박·휴가 전면통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학생들과 아이들이 밀집하는 학원, 다중이용시설을 집중 관리·점검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실내 체육시설과 전국 노래연습장, PC방 등을 점검한다. 정부의 언론 브리핑도 온라인으로 전환한다.

최예슬 기자, 세종=전슬기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