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대 포털 네이버와 카카오가 뉴스 댓글 서비스 개편 작업에 나서고 있다. 점점 교묘해지는 악성댓글을 줄이고 공론장으로서 댓글 본래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이다.
네이버에서는 19일부터 뉴스 댓글 작성자의 모든 이력이 공개되고 닉네임도 볼 수 있게 된다. 이전까지는 아이디 앞 4자리를 제외하고는 비공개 처리(****)돼 작성자 구분이 어려웠지만, 이제는 닉네임 전체와 프로필 사진까지 공개돼 작성자를 구별할 수 있다.
현재 게시 중인 모든 댓글과 댓글 수, 받은 공감 수도 집계돼 나타난다. 최근 본인이 삭제한 댓글 비율도 함께 제공된다. 삭제한 댓글 비율은 19일 이후 삭제분부터 집계되며,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책임감도 대폭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명 인증을 거치지 않은 신규 회원가입자의 경우 가입 후 7일이 지나야 댓글 활동을 할 수 있다. 짧은 기간 댓글 활동을 한 뒤 계정을 없애는 사례를 막기 위한 조치다. 네이버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 계정으로 가입한 경우에도 뉴스 댓글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투명성을 높이고 있다.
네이버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습관적으로 악성댓글을 작성하는 사용자를 가려내고 필터링하는 기능도 적용할 예정이다. 최근 고도화되고 있는 ‘클린봇’을 통해 단순 욕설·비속어는 물론 문장 맥락을 고려한 혐오 표현도 탐지가 가능할 것이란 판단이다.
‘댓글 이력 공개’는 포털 다음(DAUM)에서는 이미 시행 중인 정책이다. 카카오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닉네임을 설정해 뉴스에 댓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자의 닉네임을 클릭해 댓글 이력을 볼 수 있다. 2017년부터는 댓글의 욕설 및 비속어를 필터링하는 ‘욕설 음표 치환 기능’도 적용하고 있다. 카카오는 최근 댓글 신고 정책을 강화해 욕설·비속어뿐만 아니라 차별·혐오에 대한 표현도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양사는 ‘댓글 보지 않을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 댓글 자체를 보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특정 작성자의 댓글이 계속 나타나지 않도록 선택하는 기능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반복적으로 악성 댓글을 다는 작성자의 글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양대 포털 운영사가 강력한 댓글 정책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댓글 서비스가 공론장의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는 비판이 자리 잡고 있다. 사용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점점 더 교묘해져 가는 악성 댓글을 감지·식별해내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이다.
혐오·차별 표현의 경우 문맥이나 이슈 흐름에 대한 판단도 필수적이어서 AI 활용이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또 댓글 사용을 과도하게 제한할 경우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혐오 표현에 대한 판단의 경우 당분간 사람들의 판단에 따른 작업을 통해 가려낼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도 인터넷 준실명제 도입 논의 등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만큼 총선을 전후해 고강도 댓글 정책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