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정치개혁연합’이 아니라 ‘시민을 위하여’를 4·15 총선 비례대표용 연합정당 플랫폼으로 선택했다. 촉박한 시일 때문에 일단 플랫폼을 정해 ‘개문발차’한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이 비례연합정당 운용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17일 기본소득당·시대전환·가자환경당·가자평화인권당과 함께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가자환경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와 친척인 권기재씨가 창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두 플랫폼 통합이 불발되면서 비례연합정당 추진 일정이 촉박해졌다”며 “시민을 위하여가 창당 등록과 정당교부증을 받은 유일한 플랫폼이라는 점 때문에 신속하고 질서 있는 비례정당 추진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이 참여 정당의 이름을 착각해 한 차례 수정된 보도자료를 내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참여 정당들이 작성한 협약서에는 소수 정당이 추천하는 후보에게 앞순번을 배려하고, 보수 야당의 개혁법안 퇴행 시도와 부당한 탄핵 추진에 공동 대응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민주당이 ‘시민을 위하여’와 손잡으면서 비례연합정당 논의 과정에 ‘조국 그림자’가 드리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민을 위하여’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지지하며 검찰 개혁을 주장했던 개혁국민운동본부(개국본) 세력이 참여한 곳으로 친문재인, 친조국 색채가 상대적으로 강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비례대표 후보 선정 과정에서 친문 지지자들이 원하는 인물이 대거 포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윤호중 사무총장은 “시민을 위하여는 후보를 내는 것이 아니라 이번 총선에서만 사용할 일회용 용기를 만드는 것”이라며 “개국본이 정치 참여를 하는 것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당초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민주화운동 원로들이 중심이 된 정치개혁연합과 연대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정치개혁연합은 녹색당·미래당 등 기존 군소 원외 정당들을 중심으로 추진됐지만 참여 범위 등 몇 가지 쟁점에서 민주당과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민주당은 여전히 녹색당·미래당의 참여 가능성을 열어뒀다. 윤 사무총장은 “녹색당과 미래당은 정치개혁연합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아는데, (시민을 위하여에 참여할지) 그런 부분은 당내 논의를 거쳐야 하지 않을까 싶다”며 “정치개혁연합도 통합을 추진하면 포함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녹색당은 “민주당이 다른 정당들을 압박하는 방식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윤 사무총장은 “정당 간 사전 협의가 있어야겠지만, 최종적으로는 ‘시민을 위하여’의 후보 심사나 순위 확정 절차를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을 위하여 우희종 공동대표는 이날 유튜브 채널 ‘유시민의 알릴레오’에 출연해 “더불어시민연합이 현재 (새 당명으로) 주된 지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신재희 박재현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