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강타한 미국에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현금을 지급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2012년 공화당 대선 후보였던 밋 롬니(사진) 상원의원은 미국 성인 모두에게 1000달러(약 120만원)씩 지급하자고 제안했다. 롬니 의원은 “모든 성인은 가족과 근로자들이 단기적 의무를 이행하고 지출을 늘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즉시 1000달러를 받아야 한다”면서 “유급휴가, 실업보험 등의 확대도 중요하지만 이 수표는 다른 정부 옵션을 찾지 못하는 미국인들의 공백을 메워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학자들도 현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는 17일 CNBC에 출연해 “연준의 긴급 처방은 금융시장의 안정에 기여할지 모르지만 경기후퇴를 피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정부가) 표적 재정정책(targeted fiscal policy)을 펼쳐야 한다”고 주문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이어 “재정 지원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돼야 한다”면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할 것이다. ‘헬리콥터 머니’로 불러도 된다”고 말했다. 그는 재정적자 우려에 대해서는 “재정적자는 우리가 미래에 다뤄야 할 문제”라며 “제2차 세계대전에 돌입했을 때 우리는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지 따지지 않았다. 필요한 곳에 재정을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해 명성을 얻은 누비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지난 14일 트위터를 통해 “헬리콥터 드롭(중앙은행이 돈을 찍어 시중에 뿌리는 것)으로 미국 내 모든 거주자에게 1000달러씩 지급하는 것이 경기침체에 따른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신속하고 혁신적인 부양책”이라고 말했다.
보수 경제학자이자 ‘맨큐의 경제학’ 저자로 잘 알려진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도 블로그에 “사회보험 측면에서 경제적 도움이 절실한 이들을 가려내는 일이 어렵다면 모든 국민에게 가능한 한 빨리 1000달러 수표를 지급하는 것이 좋은 시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