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17일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개학을 4월 6일로 2주일 더 연기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본다. 당국은 꼼꼼한 후속 대책을 마련해 개학 연기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국내 확진자 수가 주춤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소규모 집단 감염은 잇따르고 있다. 많은 학생이 오랜 시간 한 공간에 머무르는 학교는 주요 감염 장소가 될 수 있다. 가족이나 사회, 특히 고령자나 기저 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전파될 가능성이 높다. 어렵게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있는 시민들에게 개학은 거리두기를 해제해도 된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도 있다.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학교 문을 열지 않겠다는 교육부의 판단은 옳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4월 개학은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것이라 대책을 세워야 할 게 수두룩하다.
당장 11월 19일 치러질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여부를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 개학이 세 번째 연기되면서 학사일정 전면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각 학교의 수업일수와 연간 수업시간 수 감축은 허용됐지만, 대학입시를 앞둔 수험생들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일단 중간과 기말로 나뉘어 한 학기에 두 번 치르는 정기고사를 한 번밖에 치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학생부 마감일 등 내신 평가 계획 변경이 필요해 보인다. 수능까지는 아니어도 9월부터 시작되는 대학 수시모집 전형 일정을 미뤄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교육부는 대입 일정을 개학과 동시에 발표할 예정이다. 가능한 한 신속하게 결정해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길 바란다.
개학이 예년보다 한 달 이상 미뤄지면서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데도 한계에 도달했다. 정부가 초등학교 긴급 돌봄교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신청률은 고작 2%에 불과하다. 맞벌이 부부를 위한 돌봄 대책도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 늘어난 방학기간 동안 재택 학습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할지도 구체화해야 한다.
개학 후 학교 현장의 방역도 지금부터 대비책을 짜야 한다. 학생들의 발열을 감시하고, 수시로 손을 씻게 하고, 손 세정제를 비치하고, 조금이라도 아프면 등교하지 않도록 하자. 수업도 최대한 학생들의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 학급마다 쉬는 시간, 급식 시간, 등하교 시간 등을 엇갈리게 하는 등 구체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초유의 사태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최선의 방안을 내놓길 바란다.
[사설] 개학 연기… 부작용 줄일 꼼꼼한 대책 마련하라
입력 2020-03-18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