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때 효과 본 ‘통화스와프’도 꺼내나

입력 2020-03-18 04:02
사진=연합뉴스TV 제공

금융 당국이 금융·통화시장 안정을 위한 추가 ‘처방전’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이어 한국은행이 내린 ‘극약 처방’(기준금리 0.50% 포인트 인하)에도 시장 상황이 나빠진 탓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효과를 봤던 대책들이 눈길을 끈다.

17일 기획재정부 등 금융 당국에 따르면 ‘통화스와프’ 확대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당시 꺼냈던 대책이기도 하다. 통화스와프는 말 그대로 통화를 ‘교환(swap)’한다는 뜻이다.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한 시점에 상호 교환하는 외환 거래다. 다른 나라의 중앙은행에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한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환율이 급등했던 2008년 10월 미국과 3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2010년 2월 종료됐다. 한·일 통화스와프 협정도 2015년 끝났다. 현재는 중국과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7개국과 1332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가 체결된 상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전날 임시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2008년 금융위기 때 한·미 통화스와프가 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외환시장의 불안을 잠재우는 훌륭한 안전판이 됐다”고 언급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도 통화시장 안정을 위해 주요 20개국(G20) 국가들과 통화스와프를 적극 체결해 달라고 정부에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선 G20 국가 중에서도 특히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금융위원회도 금융시장 안정 조치로 채권시장안정펀드와 채권담보부증권(P-CBO), 금융안정기금 등을 컨틴전시(비상계획)에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 비상시에 언제든지 꺼내들 수 있는 카드라는 것이다. 이 가운데 채권시장안정펀드도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0조원 규모로 조성한 바 있다. 채권시장의 신용경색을 사전에 방지하는 차원에서다.

박재찬 이종선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