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4·15 총선 출마를 준비하다가 공천을 받지 못해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할 경우 영구 제명하겠다”고 밝혔다. 공천 결과에 불복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는 사례가 잇따르자 초강수를 둔 것이다.
강훈식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고위전략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에서 “공천받지 못해 당을 떠난 분들이 무소속 출마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복당하지 못한다는 취지”라며 “그래야 지금 나간(공천받은) 후보가 선거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호남 지역에서 다른 당 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후 우리 당으로 입당 또는 복당하겠다며 선거운동을 하는 사례들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우리는 입당 또는 복당을 불허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민주당에선 공천 결과에 불복하는 인사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컷오프(공천 배제)된 인사들의 무소속 출마 선언이 이어지며 지지층 내 표 분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세습 공천’ 논란으로 경기 의정부갑 출마를 포기했던 문희상 국회의장 아들인 문석균 전 의정부갑 지역위원회 상임부위원장, 현역 의원이면서 컷오프된 서울 동대문을의 민병두 의원, 서울 금천의 차성수 전 금천구청장이 대표적이다.
다만 한편에서는 이 대표 본인이 20대 총선 때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전력 때문에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대표는 4년 전 20대 총선을 앞두고 당시 ‘김종인 비대위’가 자신을 컷오프하자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세종에 출마했고, 당선된 후 복당했다. 이 대표는 당시 “이유와 근거가 없다. 공당의 결정은 명분이 있어야 한다”며 당을 떠났다.
이날 민주당에서는 ‘원팀’ 기조를 강조하는 모습이 곳곳에서 보였다. 서울 마포을의 정청래 후보는 페이스북에 “경기 의정부갑 오영환 후보를 응원하고 왔다. 텃세가 심해서 많이 힘들어한다. 십시일반 후원해 달라”고 부탁했다. 장경태 청년위원장과 전용기 대학생위원장, 청년 영입 인재들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 전 부위원장의 불출마와 오 후보 지원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이날 강창일 의원과의 오찬을 시작으로 18일까지 불출마·컷오프 의원을 만날 예정이다. 위로와 감사를 전하는 취지라는 게 당의 설명이지만 비례연합정당 파견 설득을 위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유승희·오제세 의원은 연락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태섭 의원 측도 “오찬 제의를 받은 적이 없다”고 전했다.
신재희 이현우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