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의 장기전에 대비해 ‘생활방역’을 강조하고 나섰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어 단기간에 사태가 종식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 해외 재유입 차단을 위해 특별입국절차 대상국도 유럽 전역으로 확대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6일 정례 브리핑에서 “신규 확진자 증가세는 감소하고 있지만 집단시설 등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발생이 지속하고 있다”며 “전문가와 외국의 전망을 모두 종합했을 때 코로나19가 단기간 안에 소멸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 본부장은 “코로나19와의 장기전에 대비해 생활 속에서 방역수칙 준수가 당연시되는 새로운 일상을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방역 당국은 사업장·기관·학교 등에서의 생활방역을 최우선으로 강조했다. 서울 구로콜센터와 같은 집단감염 사례를 막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 본부장은 “‘아파도 나온다’는 문화가 ‘아프면 쉰다’로 바뀌어야 한다”며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 사람이 부담 없이 등교·출근을 하지 않는 제도와 지지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도 재차 당부했다. 국민적 피로감이 가중된다는 우려에도 유행이 통제되기 전까진 더욱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더 큰 유행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은 국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 덕분이었다”며 “고위험군 감염을 막기 위해서라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 실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가능성을 열어둔 이면에는 해외 재유입에 대한 우려가 자리한다.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국내 발병 이후 이날 0시 현재까지 총 50명(내국인 42명·외국인 8명)의 확진자를 해외에서 유입된 사례로 분류하고 있다. 확산 초기 중국 유입 사례는 16건이었던 반면 유럽 사례는 22건이나 됐다. 특히 이달 들어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유럽 유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이날 0시부터 유럽 전역으로 검역 그물망을 확대했다. 기존 특별입국절차 대상국에 포함된 유럽 국가는 프랑스 독일 스페인 영국 네덜란드까지 5개국이었다. 특별입국절차 대상자는 발열체크나 자가관리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입국 절차를 밟아야 한다. 정 본부장은 “입국 제한 국가를 전 세계로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며 “입국 시 조치를 더 강화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