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은 지금 ‘코로나 불황’과 전쟁 중

입력 2020-03-17 04:04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든 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경제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면서 세계 각국이 불황을 막기 위한 긴급 조치에 나서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덴마크 정부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침체로 실업 위기에 처한 일부 민간 부문 근로자들에게 최대 75%의 임금을 보전해주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최소 30% 이상의 근로 인력을 해고해야 할 정도로 위기에 몰린 기업이나 50인 이상의 사업장이 적용 대상이다. 오는 6월 9일까지 약 7만명의 근로자가 이번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도 전방위 비상대책 수립에 나섰다. 일본은행은 16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어 추가 금융완화를 결정했다.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한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확대, 대기업 지원을 위한 기업어음(CP)과 회사채 매입 한도 증액, 중소기업 자금 조달 지원을 위해 민간 금융기관에 0% 금리 대출 신설 등이 포함됐다.

일본은행은 코로나19 사태로 금융시장이 동요하자 회의를 예정보다 이틀 빨리 앞당겨 개최했다. 일본은행이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앞당겨 개최한 것은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 3월 이후 9년 만이다. NHK에 따르면 일본은행의 추가 금융완화 결정도 2016년 9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처음이다.

아베 신조 총리는 이날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야권 등이 요구하는 소비세율 인하에 대해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 아베 정권은 지난해 10월 소비세율을 기존 8%에서 10%로 올렸는데 반년여 만에 이를 뒤집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야당인 국민민주당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당장 국민 1인당 10만엔(약 113만원)을 일률적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동 국가들도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은행 결제대금 6개월 유예 등을 포함한 500억 리얄(약 16조2600억원)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내놨다.

아랍에미리트(UAE) 중앙은행도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관광, 운송 분야 기업 등에 총 1000억 디르함(약 33조25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