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돌봄공백을 줄이고자 마련한 긴급돌봄 서비스가 여전히 학부모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돌봄시간 연장, 도시락 제공, 철저한 방역을 약속해도 신청률이 1% 포인트도 늘지 않았다. 집단감염이 이어지는 데다 마스크 대란 등으로 정부 신뢰도가 하락했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12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6~9일 진행한 긴급돌봄 3차 수요조사에서 초등학생 272만1484명 가운데 6만490명(2.2%)이 긴급돌봄을 희망했다. 긴급돌봄 서비스는 전국 학교의 개학이 3주 미뤄지면서 유치원·초등학생 자녀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맞벌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추진됐다. 정부는 저조한 긴급돌봄 신청률을 올리기 위해 지난 6일 돌봄 시간을 오후 5시에서 7시로 연장하고, 점심 도시락도 제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2차 긴급돌봄 조사 때보다 불과 8206명 더 신청해 신청률이 0.3% 포인트 올라갔을 뿐이다.
유치원도 사정은 비슷했다. 신청률이 0.8% 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경기도 수원시 매탄초등학교를 방문해 긴급돌봄 현장 및 방역용품 비축 상황을 점검했다. 유 부총리는 최근 제기되는 추가 개학연기 주장에 대해 “질병관리본부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종합해 판단할 문제”라면서 “우선 오는 23일 개학을 전제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