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은 국악사를 세밀하게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들을 최근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말 나온 ‘로버트 가피아스 컬렉션 연구’가 있다. 미국의 저명한 아시아음악학자 가피아스 교수가 1966년 한국을 방문해 기록한 전통음악 관련 자료들을 정리한 것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봉산탈춤’ 등 주요 전통예술의 과거 사진(788점)과 영상(55점), 음향(185점) 자료가 폭넓게 담겨 문화·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 뜻깊은 아카이빙 사업을 주도한 이는 김희선(51) 국악연구실장. 2016년 9월 국립국악원에 부임한 그는 전통예술의 보존·전승을 위한 다채로운 연구사업을 펼쳤다. 특히 전통예술 수집·연구범위를 ‘한민족 예술’까지 확장해 아카이빙의 의미를 넓혔다. 지난해 말 김경화 전 금강산가극단 지휘자 등 조총련계 재일동포 예술가 8명의 구술을 기록한 최초의 작업물 ‘재외동포 원로예술가 구술채록-일본편’이 나왔다. 해외 연구자들이 북한 공연예술을 이해하도록 돕는 첫 영문 개론서 ‘북한의 공연예술’도 선보였다.
오는 8월 7일 국악박물관 3층에 개관하는 ‘국악 라키비움(가칭)’은 지난 3년간 펼쳐온 아카이빙 사업의 또다른 결실이다. 11일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에서 만난 김 실장은 “전시 위주 박물관과 자료 수집 중심의 아카이브를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한 공간”이라며 “영상·음악·글 등 40만점에 이르는 국립국악원 국악 자료를 검색하고 동시에 감상하는, 일종의 ‘놀이터’ 같은 곳이 될 것”이라고 했다.
라키비움 한편에 조성되는 특수자료실이 눈길을 끈다. 국립국악원이 현재까지 모은 북한 공연예술 관련 희귀 자료 1만5000여점이 최초로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규모만으로도 국내 최대다. 1955~68년 북한 유일의 음악잡지 ‘조선음악’ 전권 등 귀중한 자료가 대거 포함됐다.
국립국악원 아카이빙 사업에 속도가 붙은 건 2016년부터였다. 김 실장은 특수자료실에 대한 통일부 인가를 받아 연구원들과 함께 중국, 일본을 오가며 자료를 수집했다. 이듬해 한 일본인 수집가로부터 북한 자료 1만여점을 기증 및 구매한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김 교수는 “근·현대 한반도 국악이 소상히 담긴 이 자료들이 향후 수십 년간 우리 국악계를 포함해 연극·무용 등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2018년 한국인 최초 유네스코 산하 국제전통음악학회(ICTM) 동아시아음악연구회장에 선출된 김 교수는 탄탄한 해외 네트워크를 자랑한다. 영국 대영도서관이 소장하던 기사진표리진찬의궤(순조가 할머니 혜경궁 홍씨에게 옷감과 음식을 올린 행사를 기록한 의궤)를 찾아내 영인본으로 출간하고, 2017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악기박물관에 국악기를 처음 전시하면서 전통예술의 국제화도 이끈 바 있다.
부족한 일손과 예산 탓에 아카이빙 사업은 녹록하지 않다. 현재 30명의 연구원이 학술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일일이 들여다본 후 정리해서 책으로 내고 디지털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전시장 관리·운영도 이들 몫이다.
올해 8월로 임기를 끝내는 김 실장은 아직도 눈에 밟히는 과제들이 많다. 특히 국악박물관에 정식 수장고가 없는 것은 수집 과정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주요인이다. “국립국악원은 양질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발전적인 플랫폼이 되어야 해요. 그러려면 수장고 같은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죠.”
글·사진=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