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주요 행정기관이 밀집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1일 하루 동안 5명이나 발생했다. 총 확진자가 10명으로 늘자 청사는 확진자가 근무한 동의 식당을 폐쇄하고 청사 보안용 안면인식 시스템을 중단하는 등 감염 확산 차단에 나섰다.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청사 5동에서 근무하는 해양수산부 공무원 3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은 모두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직원과 같은 수산정책실 소속이다. 이어 오후 5시쯤에도 확진자가 추가로 나왔다. 해수부는 이날 수산정책실 직원 150여명을 집에 머물도록 했다.
해수부에 이어 교육부 고등교육정책관실 소속 직원 1명도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직원은 세종시 11번 확진자인 어린이의 아버지다. 교육부는 고등교육정책관실 직원들을 귀가시키고, 해당 국을 폐쇄해 방역을 실시했다.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재택근무 대상 직원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청사 방역망이 뚫리면서 공무 수행 전반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청사에서는 최근 12일 동안 6개 부처에서 확진자가 속출했다. 지난달 28일 인사혁신처 직원을 시작으로 보건복지부, 국가보훈처, 해수부, 대통령기록관 등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정부세종청사는 전국 정부청사 11곳 중 최대 규모다. 총리실을 포함해 22개의 중앙행정기관이 모여 있으며 소속 근무자만 1만5000여명에 달한다.
특히 감염자가 나온 1청사는 15개동이 서로 연결돼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가 감염 가능성이 크다. 강대희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직원 한 명 한 명이 담당하는 영역이 작지 않은 만큼 정부청사 집단감염이 확산한다면 여파는 무시하지 못할 수준일 것”이라며 “확진자는 더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방역 당국은 청사에서 감염이 시작된 경로는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 사례들의 상호 연관성 여부, 위험도, 노출 범위 등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사는 급히 추가 감염 확산 방지에 나섰다. 이날부터 해수부 확진자가 근무한 동의 식당이 폐쇄됐다. 청사 보안용 안면인식 시스템도 중단했다. 안면을 인식하려면 마스크를 내려야 해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청사 15개동을 연결하는 통로도 지난 3일부터 차단했다. 직원 일부를 재택근무시키거나 화상회의를 활용해 접촉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