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메시지를 놓고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최근 거의 매일 내놓는 문 대통령 메시지에 대해 청와대는 방역과 경제 파장을 모두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방역 상황보다 낙관적이거나, 타이밍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11일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242명으로 전날(131명)보다 100명 넘게 늘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들어 코로나19 극복 가능성에 방점을 찍었으나 방역은 이를 쉽게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확진자 감소세를 언급하며 “신규 확진자 수를 더 줄이고 안정 단계에 들어간다면 한국은 그야말로 코로나19 방역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0일에는 한국 기업인의 해외 방문 허용 절차를 알아보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같은 날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지는 등 코로나19가 수도권으로 확산됐다. 또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에 세계보건기구(WHO)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우려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감소세는 흐름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하루 검진자 수와 확진자 수를 비율로 보면 완연한 감소세”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충북 청주 질병관리본부를 방문해 정은경 본부장 등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질본이 열심히 해서 세계가 인정하는 좋은 성과를 냈다. 자화자찬하는 게 아니라 세계가 평가하고 있다”면서 “사망자가 더 나오지 않게 각별한 노력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 21일 국무회의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대비 메시지를 냈다. 이후 꾸준히 코로나19 관련 메시지를 냈는데 몇몇 발언은 논란에 휘말렸다. 특히 ‘경제 활성화’를 강조하며 “코로나19는 머지않아 종식될 것(2월 13일 경제계 간담회)”이라고 했던 발언은 여권 내부에서도 뼈아픈 실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의 ‘종식’ 발언 이후 대구에서 신천지를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오는 18일에도 경제계 간담회를 주재할 예정이다. 하지만 경제를 강조할수록 방역 문제는 후순위로 미뤄진다는 우려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진정세로 가면 그 이후엔 경제 문제”라며 “대통령이 당장의 방역을 최우선으로 하더라도 중장기적인 경제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스크 공급 관련 메시지를 두고는 문 대통령이 직접 송구하다고 사과하는 일도 벌어졌다. 메시지 관리가 성공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대통령은 상황을 확실히 장악하고 있다는 느낌을 줘야 한다”며 “마스크 문제에 오락가락한 것이나 두 차례의 섣부른 낙관론은 대통령 발언의 신뢰를 떨어뜨렸다”고 지적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