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2022년까지 매년 3곳 추가 지정해 12곳으로 확대한다. 첫 집중관리구역인 금천·영등포·동작 등 3개 구에 대한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사업이 올해 본격화된다.
서울시는 올해 자치구 3곳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추가 지정하기 위해 오는 12일부터 신청을 받아 6월 최종 선정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은 미세먼지가 다량 발생하는 지역 중 어린이, 노인 등이 이용하는 시설이 집중된 지역을 지정해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고 관리하여 취약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안심구역을 말한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을 위해 주민의견 수렴과 환경부 협의를 마치고 전국 최초로 지난 1월 금천, 영등포, 동작구 3곳을 지정 고시했다.
서울형 미세먼지 안심구역 맞춤형 지원사업은 취약계층의 노출저감을 통한 건강보호사업, 미세먼지 배출저감사업 등으로 구성돼 있다.
먼저 미세먼지 취약계층의 고농도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기 위해 3개 구에 스마트 에어샤워실 설치, 창호 부착형 환기시스템 설치, 미세먼지 저감 식물벽 조성, 미세먼지 쉼터 등을 조성한다. 미세먼지 배출저감을 위해서는 대기오염배출원 지도·점검 강화, 살수차·분진흡입차 집중운영, 간이측정망 시스템 구축, 소규모 대기배출시설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알리는 바닥표시 등 설치, 취약시설 옥상 쿨루프 설치사업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시민 및 취약계층 이용시설 관계자, 대기오염 배출시설 대표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협의체를 운영하고 만족도 조사 및 개선사항 발굴 등을 진행해 향후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사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2022년까지 서울형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해마다 3곳씩 추가해 총 12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23일까지 자치구에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선정 및 지정 절차를 거쳐 오는 6월 3곳을 추가 지정한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