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한국과 이탈리아의 입국 금지 문제에 대해 논의했고, 두 나라에 대한 입국 금지나 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인터넷매체 악시오스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한 미 고위 당국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억제하기엔 너무 급속히 확산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 국제화된 사회에서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것은 매우 힘들며, 입국 금지·제한 조치 등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할 경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외교적·군수적·경제적 결과를 정당화하기 힘들다는 판단을 내렸다.
악시오스는 미 국무부와 국방부 등 일부 부처가 주한미군이 주둔해 있는 한국을 미국 입국 금지·제한 국가로 지정하는 데 우려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이탈리아가 유럽연합(EU)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점도 입국 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는 데 영향을 미쳤다. 보건 당국자들도 여행 제한 조치를 선호하지 않았다고 악시오스는 설명했다.
코로나19 TF의 총괄책임자인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회의 후 언론 브리핑에서 한국 이탈리아 일본 등에 대한 추가 여행 제한 조치를 묻는 질문에 “적절한 때에, 적절한 방식으로 권고안을 제시하려 한다”고 답했다. 아직은 여행 제한 조치를 취할 때가 아니라는 의미다. 하지만 한국의 코로나19 피해 상황에 따라 미국이 앞으로 입국 금지·제한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
펜스 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으로부터 모든 입국을 중단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매우 다른 지점에 있을 것이라는 점에 의문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의 대구와 이탈리아 북부 지역에 대해 여행 경보를 상향하고 이들 국가로부터 미국으로 오는 항공기 여행객들에게 탑승 전 의료검사가 이뤄지는 점을 거론하면서 “이런 조치가 없었다면 우리는 매우 다른 지점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