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 학교, 자투리 땅 등 서울 도심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생활권 다양한 공간에 축구장 7배가 넘는 도시텃밭이 조성된다. 지체장애아를 위한 무장애 치유텃밭이 확대되고, 빈 교실을 활용한 농업교실도 운영된다.
서울시는 올 한해 시내 264곳에 5만2989㎡ 규모의 ‘서울형 도시텃밭’을 만드는데 총 46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우선 생활권 내 방치된 자투리 공간 중 3년 이상 사용 가능한 공간을 텃밭으로 가꾼다. 시민이 여가 시간을 활용해 농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25곳에 1만5000㎡ 규모로 조성한다.
방치되기 쉬운 건물 옥상에도 텃밭이 만들어진다. 다중이용시설을 우선 선정해 80곳에 총 5817㎡로 조성한다. 옥상 텃밭을 조성하기 전 반드시 구조안전진단과 방수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며 구조안전진단 비용은 서울시가 지원한다.
어린이와 학생들이 직접 작물을 키우고 관찰하며 생태 친화적인 정서를 가질 수 있도록 어린이집 20곳, 학교 60곳에 총 6800㎡ 규모로 텃밭을 조성한다. 단순한 텃밭 체험을 넘어 생태·환경·식생활로 연결되는 포괄적 생태교육까지 가능하도록 도시농업 전문가가 현장 교육을 진행한다. 또 빈 교실을 활용해 실내에서도 농업체험과 교육이 가능한 농업교실을 시범 운영한다.
서울시는 베란다 텃밭, 외벽을 활용한 파이프 팜, 녹색커튼 등을 통해 도시농업을 체험할 수 있도록 아파트 2~3곳에서 텃밭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도시농업이 여가활동·안전한 먹거리 생산에 그치지 않고 치유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과 효과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지체장애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보도블럭과 높임텃밭을 배치하는 무장애 치유텃밭 5423㎡를 만든다. 특히 복지시설 이용자가 아니어도 텃밭 활동과 치유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한 ‘서울형 치유텃밭’을 강서구에 조성한다.
아울러 일반 시민이 손쉽게 도시농업에 입문할 수 있도록 상자텃밭 운영도 확대한다. 가정에서 화초를 기르듯 베란다, 창가 등의 실내 공간을 활용해 작물을 키워볼 수 있는 상자텃밭을 2만9000개 분양할 계획이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