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목표로 각종 지원책을 내놨지만 실제 자동차 판매량 증가에 큰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179만514대였다. 이는 2018년에 비해 1.8% 감소한 수치로, 신규등록 대수가 180만대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5년 이후 4년 만이다.
지난해 국산차는 전년보다 0.9% 줄어 152만대, 수입차는 6% 감소한 27만5000대가 팔린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차 판매 감소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 여파가 컸다. 일본차 판매 대수는 2018년 4만5891대에서 지난해 3만7374대로 무려 18.6%나 떨어졌다. 배출가스 인증지연 등 문제로 독일차도 전년 대비 4.5%가 감소했다.
정부는 경기침체 현상에 대응하고자 2018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신차를 구매할 경우 개별소비세 30%를 한시적으로 감면해주는 정책을 실시했다. 지난해부터는 10년 이상 된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면 개소세 70%를 추가 감면해주고, 구매가 제한됐던 LPG차량의 규제도 풀었다.
하지만 얼어붙은 소비자의 지갑을 열기엔 역부족이었다. 자동차 주요 구매층인 30, 40대의 신차 구매는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30대의 신차 구매는 전년 대비 10.4%, 40대는 4.8%가 줄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개소세 인하 등 정책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정책이 반복되면 소비자의 내성이 생겨 효과가 줄어든다”며 “신차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여전하다. 결국 비접촉·비대면 위주의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완성차 업계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도 제기됐다. 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문에 지난해 떨어진 판매대수를 올해 회복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신차로 승부를 봐야 한다”며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이끌어내는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 지원책 등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