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산재공공병원 확대 ‘목소리’

입력 2020-03-10 04:04
2019년 4월 울산시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에 선정된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사업 부지를 발표했다. 사진은 해당 부지 개요.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올해 착공하는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 규모를 계획보다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9일 울산시에 따르면 산재공공병원은 울주군 굴화리 공공주택지구에 건립된다. 울산시와 울주군이 2059억원을 투입, 올해 착공해 2024년 연말이나 2025년 상반기 개원할 예정이다.

공공병원에는 303병상, 16개 진료과목, 직업병 연구소와 재활보조기 연구소 등 2개 연구소가 들어선다.

울산시의 공공병원 건립 사업은 2003년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의 건의로 시작됐다. 울산시는 500병상을 추진했지만 경제성과 부지 적정성 등의 문제로 정부 예타 조사 과정에서 3차례나 사업이 변경되면서 축소됐다.

울산은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공공병원이 없다. 새로 건립되는 산재전문 공공병원은 산재노동자들의 치료뿐만 아니라 울산시민의 공공의료 지원시스템의 미비를 보완할 수 있야 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송청호 울산시장은 기자 간담회에서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공공병원을 신속하게 건립하고 규모도 늘려야 한다는 것을 알려줬다”며 “정부에도 이를 강력하게 촉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선호 울주군수도 최근 기자회견을 자청해 “울산시민의 주요 사망 원인인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폐암 등과 코로나19, 사스(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같은 전염 질환도 관리할 수 있는 공공병원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군수는 “산재전문 공공병원이 500병상 이상으로 건립돼 울산시민의 의료공백을 줄일 수 있는 제대로 된 공공의료기관으로 조성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