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파견 복귀 공중보건의에 “바로 출근하라”

입력 2020-03-10 04:03
9일 오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지역거점병인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에 투입된 공중보건의사들이 직무교육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대구에 파견됐던 공중보건의 복귀 후 자가격리 등에 대한 별도의 지침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보의들은 자체 판단에 따라 자가격리를 선택하고 있으나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자가격리 중인 공보의에 생필품 지원조차 하지 않고 있다.

경북 지역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30대 공보의 A씨는 지난달 중순 대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 파견돼 의료지원을 했다. 지난 4일 원 근무지로 복귀한 A씨는 소속 기관에 자가격리를 건의했지만 “우리 지역에 아직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고, 대구에서 방호복 등 보호장구를 착용했으니 바로 출근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A씨가 자가격리를 건의한 것은 보건소 특성상 고령층 등 면역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을 상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지역사회 추가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함이었다.

A씨를 비롯한 몇몇 공보의가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한 자가격리가 필요하다고 건의하자 지자체들은 희망자에 한해 자가격리를 실시키로 했다.

현재 대구 등 감염병 집중 지역에 파견됐던 의료진이 곧바로 의료현장에 복귀하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정부 지침은 없는 상황이다. 현장 의료진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서울 한 대학병원의 감염내과 교수는 9일 “보호장구만 제대로 착용했다면 즉각 복귀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진이 부족한 대구·경북 상황을 감안하면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보의들은 자신들이 감염원이 될지 우려하고 있다. 대한공중보건의협의회 관계자는 “보호장구 착용으로 충분하다면, 의료진 감염은 왜 발생하겠냐”면서 “명령권이 없는 우리로서는 복귀 후 자가격리가 필요하다는 권고만 내놓을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복귀한 공보의들이 자가격리를 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