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한·중發 입국자 2주간 격리… 사실상 문 닫았다

입력 2020-03-06 04:0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과 관련, 비교적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던 일본이 ‘총력방어’로 태세를 전환했다. 일본은 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다음 달 방일에 대해 연기 결정을 내린데 이어 한국과 중국에서 자국으로 들어오는 여행객에 대해 ‘2주간 격리’를 확정했다. 사실상 입국 금지에 준하는 조치다. 한·중 두 나라와의 인적·물적 교류량, 경제에 미칠 여파 등을 고려하면 매우 과감한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내 확진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감염이 더 확대되면 오는 7월 도쿄올림픽 개최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 적극적 방역으로 전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저녁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한·중 양국에서 오는 입국자를 2주 동안 의료시설 또는 정부 지정 시설에서 대기토록 하는 방안을 확정했다고 NHK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2주 격리 및 비자 효력 정지 조치는 오는 9일 시작돼 이달 말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2주 격리 조치는 한국과 중국에 체류하다 귀국한 일본인에게도 적용된다.

일본 정부는 또 9일부터 한·중 양국 주재 일본대사관에서 발급한 비자의 효력도 정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양국에서 출발하는 여객기의 착륙은 도쿄 나리타공항과 오사카 간사이공항으로 한정하기로 했다. 한·중과 일본을 잇는 여객선 운항 중지도 요청한다. 아울러 7일 0시부터 한국과 이란의 일부 지역을 추가로 입국 금지 조치 대상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중국 일부 지역에서 일본인을 대상으로 2주 격리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사실상의 대응 조치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고 요미우리가 전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일본발 여행객에 대해서는 별다른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어 일본 정부가 한국에 일방적 조치를 취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코로나19 여파로 한국인에 대해 입국제한 조처를 한 지역·국가가 이미 100곳이나 되지만, 일본의 ‘2주간 격리’ 조처의 파장은 차원이 다를 수 있다. 일본은 한국의 5위 수출국이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로 ‘노 재팬’ 열풍 속에서도 작년에 558만여명이 일본을 찾았다. 특히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 등 방역 선진국들이 한국 여행 규제 조치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외교부는 일본 정부 발표 직후 소마 히로히사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이번 조치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다. 정부의 공식 입장은 6일 발표될 예정이다. 우선 일본 여행에 대한 경보를 높이는 방안 등이 대응책으로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 관계 악화를 감수하면서 한·중을 대상으로 격리 조치를 결정한 것은 아베 총리의 절박감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오는 5월 말까지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지 않으면 7월 도쿄올림픽 개최도 장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일본에 앞서 호주 정부는 이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입국 금지 국가에 한국을 추가했다.

조성은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