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대란’을 둘러싸고 정치권이 상반되게 대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은 마스크를 쓰지 않고 공식석상에 나섰고, 야당은 마스크를 쓴 상태로 “수급이 불안정하다”며 정부 때리기에 나섰다. 마스크 수급 문제를 정부 책임으로 돌리는 야당과 마스크 대란 사태를 잠재우려는 여당이 마스크 착용 여부로 ‘이미지 정치’에 나선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5일 청와대에서 진행된 임명장 수여식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전날 충북 청주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임관식에서도 문 대통령은 마스크를 안 쓴 채 행사에 참석했다. 지난 2일 국군간호사관학교 방문 때와 3일 국무회의에서 마스크를 착용했던 모습과는 달라진 기류다.
더불어민주당도 5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참석 의원 전원이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민주당 지도부 인사는 “마스크를 계속 써서 불안감을 주는 모습보다 마스크를 벗고 국민에게 이겨내자는 취지로 안 쓴다”고 설명했다. 김두관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기저질환자, 유증상자, 의료진이 마스크를 쓰지 못하는 사태가 생기면 어쩌나 걱정”이라며 “저부터 마스크를 벗고 선거운동하겠다. 건강한 사람은 마스크 벗고 대중교통이나 특별한 실내공간에서만 써야 한다. 그래야 공포를 이기고 경제를 살린다”고 했다.
미래통합당은 마스크 대란을 초래한 원인이 정부에 있다며 맹폭에 나섰다. 황교안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서울 신촌의 한 마트에 가서 마스크를 직접 구매해봤다. 마스크 5개를 사는데도 정말 많은 시간이 걸렸다”며 “어쩌다 이 나라가 국민이 편안하게 마스크 한 장 사기 힘든 나라가 됐는지 정말 자괴감이 든다”고 말했다. 김영환 최고위원도 “출근길에 보니 우체국 앞과 농협마트 앞에 줄을 수십에서 수백 미터 서 있는 것을 보고 왔다. 소련 공산당이 붕괴할 때 빵을 사기 위해 줄을 섰던 국민을 연상케 하는 일”이라며 “이게 3만불 시대의 대한민국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이냐”고 비판했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국내 마스크 생산 물량이 중국으로 간 것이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홍남기 부총리가 하루 마스크 생산량을 1100만장으로 늘리겠다고 했다. 계산해보면 약 2억7000만장이 되는데 도대체 어디로 갔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대중국 마스크 수출액은 지난해 12월 60만 달러였는데 1월에 6135만 달러로 100배, 2월 20일까지는 1억1845만 달러로 200배 폭증했다”며 정부에 마스크 수출액 증가 원인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