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감염내과 전문의가 턱없이 모자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확진환자 치료 병상 확보를 위해 감염병 전담병원을 추가로 지정하고 있지만 정작 이곳에서 일할 전문의들이 없는 실정이다.
감염내과 전문의들은 신종감염병이 유행할 때만 ‘감염내과’를 찾는다고 말한다. 인력이 부족한 상황도 우리사회의 이런 분위기에 기인한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전문 인력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이렇다 할 변화는 없었다. 당시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등을 지낸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감염내과 전문의는 250여명”이라며 “메르스 때 200명 정도였으니 1년에 10여명 배출된 것으로 인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감염내과 의사들은 신종감염병이 출현하면 국가 요청에 따라 최전선에서 진료를 맡는다”며 “유사시 데려다 쓰는 것은 가능하지만 필요할 때만 차출하고 있고, 인력양성에 대한 정부 지원도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항상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고 있는데, 못 고치는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사실 감염내과는 전공의들이 기피하는 대표적인 ‘3D’ 진료과다. 근무여건 대비 보상이 높지 않고 감염관리와 예방에 중점을 두는 과의 특성상 수익 창출과 거리가 먼 탓에 병원에서 ‘찬밥’ 신세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김태형 순천향대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모든 의사는 자기 과가 제일 힘들다고 하지만 감염내과 의사는 정말 하는 일이 많다”며 “본인 환자 및 타과 환자 진료를 보면서 연구도 해야 하고 코로나19와 같은 사태가 발생했을 땐 병원 내 컨트롤타워가 돼 원내감염을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대형 대학병원엔 전문의가 4~5명 있지만 중소 및 지역 병원은 1명을 유지하기도 힘들다”며 “우리나라 의료는 공공성을 띄고 그런 차원에서 감염내과 전문의 인력이 확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처럼 전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에는 언론대응이 매우 중요한데 감염내과 전문가가 없으니 원활한 소통도 되지 않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동안 전문 인력 확충 방안으로 거론된 것은 ▲감염관리 수가 지원 ▲근무여건 개선 ▲국립공공의대 설립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등이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어떤 사태가 마무리되면 대응에 있어 부족했던 부분을 파악해 대책을 수립하는데, 코로나19와 관련해서도 추후 개선책이 논의될 것”이라고 했다.
유수인 쿠키뉴스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