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초등학생 긴급돌봄 서비스가 학부모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돌봄 공백을 줄이려고 마련한 서비스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자녀를 집단생활로 내모는 것에 대한 불안감과 감염병 확산에 우왕좌왕하는 정부에 대한 불신이 작용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가 지난 2일 기준으로 집계해 4일 발표한 ‘유·초등 긴급돌봄 운영현황’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생 2만3703명이 긴급돌봄 서비스에 참여했다. 전체 초등학생 중 0.87%에 불과하다. 지난달 24∼26일 긴급돌봄 수요 조사를 벌인 결과 초등학생 272만1484명 가운데 4만8656명(1.8%)이 긴급돌봄을 신청했었다. 하지만 이 가운데 절반 정도만 돌봄교실에 실제 자녀를 보냈다. 참여율이 가장 저조한 지역은 대구로 초등학생의 0.5%인 568명이 신청했고, 실제 참여는 146명에 불과했다.
유치원도 사정은 비슷하다. 전체 유치원생 61만6293명 가운데 7만1353명(11.6%)이 긴급돌봄을 신청했지만 신청자 가운데 43.2%인 3만840명만 긴급돌봄에 참여했다. 돌봄교실을 정오나 오후 2∼3시까지만 운영한다고 공지한 학교들이 있었던 점도 돌봄교실 신청 및 참여율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지적된다. 교육부는 뒤늦게 “모든 유치원·초등학교가 오후 5시까지 긴급돌봄을 제공하도록 하라”고 지침을 내렸다. 교육부는 전국 학교의 개학일이 오는 23일로 추가 연기되면서 5일까지 2차 긴급돌봄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교육부는 일선 학교에 비축된 마스크 580만장을 수거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 서울·경기·인천에서 이미 수거한 마스크 160만장은 시중에 유통하되 나머지 지역의 학교 비축분은 손대지 않기로 했다. ‘마스크 돌려막기’ ‘학생 것까지 손댈 만큼 무대책’ 등의 비판을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