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들이 광주에서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대구와 광주 간 ‘달빛동맹’을 토대로 한 ‘병상연대’가 본격 가동된 셈이다.
광주시는 4일 “대구 코로나19 경증 확진자 7명이 구급차 2대를 이용, 남구 덕남동 빛고을전남대병원에 도착해 치료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가족단위 3명과 4명으로 각각 오후 2시10분과 3시에 대구를 출발해 3시간 후 광주에 도착했다.
경증 확진자들은 의사 12명, 간호사 51명이 대기하던 빛고을전남대병원에서 즉각 격리치료에 들어갔다. 이 병원은 8개의 음압병실과 49개의 격리병실을 갖추고 있다.
시는 ‘달빛고속도로’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광주대구고속도로(옛 88고속도로)를 이용해 휴게소에 들르지 않고 광주로 직행하도록 했다. 구급차에는 운전석과 환자석 사이에 비말(침방울) 접촉 차단용 칸막이를 설치했다. 구급대원들은 방호복을 착용했다.
빛고을전남대병원 인근 주민들은 덕남마을 주민일동 명의로 ‘광주와 대구는 달빛동맹을 맺은 형제입니다. 여러분의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라는 현수막을 내걸고 조속한 완치를 기원했다.
시는 코로나19 위기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된 이후 광주 남구 덕남동 빛고을전남대병원(60병상)과 시립요양병원(49병상) 2곳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했다.
대구 코로나19 확진자의 광주 이동은 지난 1일 이용섭 광주시장이 대구시에 ‘병상연대’를 제안한 지 사흘 만에 이뤄졌다. 이 시장은 “1980년 5월 고립됐던 광주가 외롭지 않았던 것은 뜻을 함께한 수많은 연대 손길 덕분”이라며 “대구와 광주는 달빛동맹으로 맺은 형제 도시”라고 강조했다.
지자체 합의에 따라 대구 환자가 다른 지역으로 옮겨진 것은 처음이다. 광주시는 빛고을전남대병원 등의 병실 사정을 감안해 대구 확진자를 최대 60명까지 받아 치료할 계획이다. 달구벌 대구와 빛고을 광주는 2013년 3월 지역감정을 뛰어넘자는 차원에서 첫 글자를 딴 ‘달빛동맹’을 맺은 이후 각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를 이어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