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근원을 연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중국 학계와 관영매체 중심으로 “코로나19의 발원지가 중국이 아닐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시 주석까지 바이러스 발원지에 관심을 표명하면서 코로나19 발원지 논란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학계에선 “코로나19 발원지가 미국일 수 있다”는 식의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3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바이러스 방역 연구가 진행 중인 군사의학연구원과 칭화대 의학원을 시찰한 자리에서 “종합적인 계획을 세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근원과 전파 경로를 연구할 것”을 지시했다. 시 주석은 “바이러스 근원 조사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활용해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근원이 어디인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전염됐는지를 분명하게 밝혀내고 정확도와 검사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 “과학기술은 전염병과의 싸움에서 가장 중요한 무기”라며 “과학기술을 이용해 완치율을 높이고 치사율을 낮춰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최종적인 승리를 거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라는 주문도 했다.
감염병 권위자인 중난산 중국공정원 원사가 지난달 27일 “코로나19가 중국에서 가장 먼저 출현했지만 꼭 중국에서 발원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한 이후 중국 측은 바이러스 발원지 논란을 집중 제기하고 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지난달 29일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발원지 아직 불확실하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감염원이 밝혀지지 않은 코로나19 환자가 적지 않다는 점과 일본 매체에서 미국 독감과 코로나19의 관련성을 보도한 내용 등을 근거로 내세우며 발원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양잔추 우한대 바이러스연구소 교수는 “만약 미국 독감 환자 샘플 가운데 3분의 1 또는 2분의 1 정도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이게 우한 환자의 바이러스와 동일하다면 코로나19의 발원지는 미국이라는 설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미국을 바이러스 발원지로 의심했다.
베이징대 공공위생학원의 왕페이위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초기 전파 경로와 돌연변이 여부, 잠재적인 위험 등 전염병 예방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찾아야 한다”며 “현재 학계는 천산갑을 코로나19의 잠재적인 중간 숙주로 보지만, 천산갑이 어떻게 대규모 감염을 유발시켰는지, 바이러스가 어떻게 동물에서 인간으로 그리고 인간 사회에 만연됐는지는 미지수”라고 주장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