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적 판매처 구상에서 제외 편의점·마트 “우리도 마스크 팔고 싶어요”

입력 2020-03-04 04:03
소비자들이 2일 전북 전주시 농협하나로마트 전주점에서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줄 서 있다. 뉴시스

정부가 편의점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마스크 공적 판매처 구상에서 제외했다.

한국편의점협회는 지난달 말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편의점을 공적 판매처로 지정해줄 것을 거듭 요청했다. 대형마트들도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등을 통해 공적 판매처에 포함시켜 달라는 취지의 공문을 식약처에 보냈다. 하지만 식약처는 검토 끝에 3일 편의점과 대형마트를 판매처로 지정하지 않기로 했다. 마스크 생산 물량을 당장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판매처만 늘리는 것에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부가 하루 1000만장에 달하는 마스크 생산량 중 50%를 우체국과 하나로마트, 약국 등 공적 판매처에 우선 판매하기로 하면서 편의점 등 기존 유통채널에 공급되는 마스크 물량은 크게 줄었다. A편의점의 경우 지난달 29일 마스크 입고 물량이 지난달 26일에 비해 10%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동안 마스크를 지점마다 20개꼴로 발주해왔는데, 산술적으로 따지면 앞으로는 2개씩밖에 발주할 수 없게 됐다. B편의점도 같은 기간 확보 물량이 기존의 30% 수준으로 줄었다.

문제는 공적 판매처에 몰린 소비자들이 몇시간 동안 줄을 서고도 마스크를 사지 못 하는 일이 빈번하다는 점이다. 업계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편의점을 공적 판매처로 지정해 판매망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편의점협회 관계자는 “소비자의 접근성과 24시간 영업, 본부의 가격통제 기능 등 공적 사회인프라 기능을 감안할 때 편의점은 공적 판매처로 최적화된 채널”이라고 말했다.

대형마트도 공적 판매처 도입 이후 마스크 구하기가 힘들어졌다. 한 대형마트의 경우 마스크 입고 물량이 평소 7만~8만장 수준에서 3만~4만장 수준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마스크를 사기 위해서 우체국이 어디 있는지 찾아야 하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공적 판매처로 지목된 곳들은 영업시간과 운영방안 등이 애매해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데 이는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도 좋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택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