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치료체계 개편 일환인 환자이송 대책이 2일 시작됐다. 자택 대기 중인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서고, 이들 중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 상태에서 숨지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나온 조치다.
환자이송 대책 성패는 속도에 달렸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생활치료센터 대상지, 확진자 모니터링을 위한 의료진, 환자이송을 위한 구급차 확보 등이 우선 과제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경증 환자들을 수용할 생활치료센터 확보를 좀 더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1호 센터로 마련한 중앙교육연수원은 16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영덕 삼성인력개발원(203실), 문경 서울대병원인재원(100실)도 주내에 생활치료센터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확진자가 4000명을 넘어섰고, 매일 추가 확진자가 계속되는 만큼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박종혁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지금 같은 속도로는 안 된다. 정부가 리더십을 발휘해 연수원이든 호텔이든 군 시설이든 빨리 공간을 확보해서 진료를 받지 못한 확진자들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율 전 질병관리본부장도 “지금은 되는 대로 장소를 많이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의료 인력은 상황에 맞춰 운영하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생활치료센터 수준이 반드시 병원에 준할 필요도 없다. 방역전문가인 박찬병 서울시립서북병원장은 “경증 환자들이 감염원이 돼 추가 전파를 하지 않도록 막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라며 “각 방이 격리돼 있고, 균이 생존하지 못하도록 환기 등이 가능한 정도라면 기본적 요건이 충족된다”고 말했다.
시설이 확보되면 경증 환자들의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 시 대응할 최소한의 의료진도 신속하게 꾸릴 필요가 있다. 감신 경북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센터에 의료진이 대기하면서 응급 시에는 바로 전담 치료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 및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센터는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로 운영되는 만큼 추가 의료진 확보가 필요하다. 시설 내부 소독과 식사 배달을 담당할 인력 등도 정부가 확보해야 한다. 다만 박 병원장은 “확진자 치료를 위한 의사 인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센터 운영에 대한 세밀한 지침을 세운 뒤 간호 인력만 우선 파견하는 방법도 고려해 봐야 한다”며 “센터 격리 기간 혹시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는 체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부터 시작된 대구 중앙교육연수원 부지 ‘대구1생활치료센터’ 이송작업에는 전국 각지의 구급차와 대구 내 사설 구급차까지 동원됐다. 구급차가 격리 중인 확진자 자택으로 직접 이동해 환자를 센터로 이동하는 방식이었다. 대구 내 한 사설 응급환자이송업체 관계자는 “3일부터 구급차 12대를 이송에 투입하기로 했다. 전염 방지를 위해 환자 1명을 이송할 때마다 소독을 하고, 방호복도 착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의 다른 사설 구급업체 관계자는 “환자이송 인력 부족 사태에 대비해 질병관리 당국의 연락을 받고 대기 중”이라고 말했다.
최강원 명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버스 같은 다인승 차량에 환자들을 한꺼번에 태우고 가면 서로 다른 바이러스에 교차 감염돼 없던 병이 생길 우려도 있기 때문에 구급차를 이용해 한 번에 1명씩 태우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 전 질병관리본부장은 “환자들이 배출하는 바이러스가 다른 것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운전하는 사람들도 보호복을 입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현수 임주언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