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모은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 금연정책 펼친다

입력 2020-03-03 04:08

서울 성동구가 간접흡연 피해 민원, 과태료 부과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스마트하게 금연정책을 펼친다.

성동구가 이번에 분석한 데이터는 간접흡연 피해 민원, 과태료 부과, 실외 금연구역, 교통시설물 및 교육시설물, 유동인구 등 최근 3년간 누적된 자료다. 2015년 성동구 간접흡연 피해 민원처리는 128건이었으나 2018년 419건으로 약 3.3배 증가했고 금연구역 내 과태료 부과건수는 2015년 125건(1108만원)에서 2018년 950건(9180만원)으로 7.6배 늘었다.

성동구는 비흡연자와 흡연자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금연구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했다. 특히 GIS(지리정보시스템) 분석을 통해 업무 담당자가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실질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행정을 구현했다.

먼저 간접흡연 피해 민원과 과태료 단속 데이터 및 유동인구, 대중교통, 일반음식점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흡연 핫스팟(hotspot) 지역을 파악하고 시간대별 흡연집중지역을 도출했다.

오전 6시부터 오전 11시까지는 왕십리역 주변과 신금호역 교차로 등이,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직장인이 많은 성수역과 뚝섬역 인근에서, 오후 5시부터 오후 9시 사이에는 한양대 인근 음식점 밀집지역 등이 집중 흡연구역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흡연민원이 집중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에 금연단속원을 배치해 제한된 인원으로 간접흡연 민원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계획이다.

금연구역 후보지역 선정에도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활용됐다. 구는 흡연유발지수 산출 모델을 개발해 흡연 발생 가능성을 정량화한 결과 상왕십리역·옥수역 인근, 성수동 지식산업센터 부근 등이 흡연유발지수가 높게 나타나 금연계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2일 “앞으로도 다년간 축적된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구민들에게 맞춤형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