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2일 이스타항공 인수를 확정했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예정보다 약 150억원 낮은 545억원 선에서 최종 성사됐다.
제주항공은 이날 이사회를 열어 이스타항공 최대주주인 이스타홀딩스와 545억원에 이스타항공 보통주 497만1000주(지분비율 51.17%)를 인수하는 주식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12월 양해각서 체결과 동시에 이행보증금으로 지급한 115억원을 제외한 차액 약 430억원은 취득예정 일자인 4월 29일 전액 납입한다.
양사는 “최근 항공시장의 위기 상황에 대한 인식을 함께하고, 인수·합병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게 항공산업 위기 극복 및 공동 발전을 위한 올바른 방향임을 충분히 공감하며 최종 인수가액 및 방식과 절차 등에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다.
당초 양측은 695억원을 인수 가격으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으나 최근 코로나19 위기로 업황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인수 철회설’까지 제기됐었다. 양측은 실사 작업이 예상보다 길어지는 등 부침을 겪었지만 합의 하에 인수 가격을 대폭 조정해 최종 계약을 이끌어냈다.
이석주 제주항공 사장은 “현재 코로나19 이슈 등으로 인한 항공시장 상황을 고려해 궁극적으로 항공업계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양사 간 양보를 통해 가격 조정을 이뤄냈다”며 “운영 효율 극대화로 이스타항공의 경영 안정화 및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제주항공은 양사의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겠다는 방침 아래 규모의 경제를 활용한 원가절감, 노선 활용의 유연성 확보, 점유율을 바탕으로 하는 가격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저비용항공사(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은 이번 인수·합병으로 아시아나와의 시장점유율 격차를 크게 줄이며 단숨에 항공업계 ‘빅3’로 부상했다.
이에 HDC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협상 진척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업계 침체로 인수 부담이 커지면서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의 마찰설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등 협상은 부침을 겪는 모양새다. 이번 제주·이스타 인수 과정과 마찬가지로 최종 타결까지 각종 비관 전망이 지속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 전직원 급여 반납, 무급휴직 등의 내용을 담은 자구안 강화책을 추가로 발표하며 비용절감 노력을 이어갔다. 모든 직종을 상대로 한 무급휴직 10일 실시 조치를 이달 중 집중 사용토록 하면서 3월 급여에서 전 직원의 급여 33%를 일괄 차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기존 자구안의 임원 급여 반납 비율을 높여 사장 100%, 임원 50%, 조직장 30%를 각각 반납하기로 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