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앙교육연수원에 생활치료센터… 무증상·경증 환자 수용한다

입력 2020-03-02 04:03
대구·경북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늘며 병상이 부족한 가운데 28일 오후 경북 경산시 하양읍 국군대구병원에서 장병들이 코로나19 확진자 수용을 위한 병실과 병상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지침을 바꾸면서, 매일 확진자가 급증하는 대구의 치료 기준도 크게 바뀌게 됐다.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우한시가 했던 것처럼 음압병상 입원치료가 꼭 필요한 중증 환자는 전담병원에서, 경증 확진자는 연수원 등을 개조한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앞으로 중앙재난대책본부와 질병관리본부, 대구시의 중증도 분류 기준에 따라 코로나19 확진자들은 병원입원 및 생활치료센터 격리·치료 여부가 결정된다. 맥박 수축기혈압 호흡수 체온 의식수준 등에 따라 점수를 산정해 4단계로 나눠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그동안 확진자들을 입원시키기 위한 병상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급증하는 환자에 비해 병상이 크게 부족했다. 때문에 확진판정을 받고도 자가에서 입원 대기를 하는 환자들이 계속 늘고, 입원 대기 중 증상 악화로 숨지는 사례들도 발생했다.


우선 대구시는 동구 ‘신서혁신도시’에 위치한 중앙교육연수원(교육부)을 생활치료센터로 만들 예정이다. 경북대병원이 책임을 지고 자원봉사 의료인 등의 지원을 받아 운영될 예정이다.

입소 대상은 주로 무증상 혹은 경증인 환자들로 의료진이 24시간 상주하며 지속적으로 환자들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 악화에 따른 대처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교육연수원이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160여명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대구시는 환자 상황에 따라 대구와 대구 인근 연수원, 대기업 시설 등 공공·민간시설을 추가로 경증 환자 전용 치료시설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해 1000여 병상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증 환자의 경우 우선 지역 내 병상을 신속하게 배정하고 다른 지역 전원이 필요한 경우 국립중앙의료원의 ‘전원지원상황실’에서 병상배정을 총괄하기로 했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그동안 중국 등의 사례를 통해 코로나19 확진자 중 80% 이상이 경증 환자라는 데이터를 얻었기 때문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