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대응 체계를 ‘피해 최소화’로 수정했다. 지금까지는 확산 방지와 환자 치료를 병행해 왔다면, 이제 환자 치료에 보다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방역대응 체계를 전반적인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인식 하에 코로나19 대응 지침을 7번째로 개정해 2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감염병) 유행 초기에는 외국에서 유입을 차단하는 검역과 격리조치 위주의 전략을 쓰지만, 어느 정도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하면 피해 최소화에 대한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기본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이같이 전략을 전환한 이유는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환자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차단에만 집중할 경우 자칫 확진자에 대한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병상이 부족해 고령에 지병을 앓는 환자가 입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민·관·군이 하나가 되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확산 추세가 너무 빠르다. 그렇다고 병실을 무한정 늘릴 수도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일부터 환자를 중증도별로 분류해, 맞춤형 치료를 받게 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국적으로 경증 환자들이 생활하게 되는 생활치료센터도 설립할 계획이다. 이에 발맞춰 전국 자치단체도 “대구 환자를 받겠다”고 나서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이날 광주공동체 특별담화 발표 기자회견에서 “대구 지역의 코로나19 경증 확진환자를 빛고을전남대병원과 시립제2요양병원으로 옮겨 치료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엔 이미 경북에서 이송된 중증 환자 2명이 치료를 받고 있다. 오거돈 부산시장도 “병상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박원순 서울시장은 “대구·경북 중증 환자들을 서울시립병원에 모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고,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중증 환자는 얼마든지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현재 경북 지역 상주적십자병원과 영주적십자병원 외에도 경남의 국립마산병원, 대전 국군대전병원 등이 대구 지역 경증 환자를 수용하고 있다. 경기 성남 국군수도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인천길병원, 충북대병원 등에서는 중증 환자를 치료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250만 대구시민을 대표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대구=최일영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