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방역 책임,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입력 2020-02-29 04:02
코로나19 확진자가 국내 첫 발생 39일만인 28일 2300명을 넘어섰다. 대구·경북에 85%가량이 집중돼 있지만 서울 경기 부산 경남 대전 충남 등 두자릿수를 넘어가는 지역이 늘어나는 등 전국으로 확산되는 흐름이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맹렬한 기세에 경제 활동은 물론이고 일상생활까지도 급격히 움츠러들었다. 거리나 상가는 사람들의 발길이 줄었고 확진자가 확인돼 일시 폐쇄되는 건물과 다중이용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매판매지수는 전월 대비 3.1% 감소로, 8년11개월만에 최대 낙폭이었다.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2월 이후의 지표는 더 악화될 게 뻔하다. 세계적 대유행 전망에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주가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진 가운데 국내 주식시장도 이날 폭락했다. 한국발 여행객에 대한 입국 금지나 제한 조치를 취하거나 입국 절차를 강화한 국가는 50곳이 넘는다. 4위 교역 상대국인 베트남이 29일부터 한국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임시 중단키로 한 것은 산업계에 큰 충격이다. 코로나19가 전국으로 계속 번진다면 위기는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치달을 것이다.

미증유의 위기지만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우리 스스로 길어 올릴 수밖에 없다. 정부와 민간, 정치권이 한마음이 돼 힘을 모아야 코로나19 조기 종식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방역 당국은 감염자를 신속히 찾아내 격리하고 치료함으로써 추가 전파를 차단해야 한다. 의료 인력과 병상도 신속히 확보해 치료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

일반 시민과 기업들도 방역의 일선을 지킨다는 각오로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다. 감염병 예방 수칙을 지키는 건 기본이고 건물 폐쇄, 자가격리 등 방역 매뉴얼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집회나 종교 행사는 당분간 자제할 필요가 있다. 가톨릭이 2주간 미사를 중단을 결정했고 개신교도 대형 교회들이 속속 오는 8일까지 모든 예배를 온라인예배로 대체키로 한 것은 시의적절한 조치다. 대구 지역 의료봉사에 의료인 800여명이 지원했다는 소식, 성금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소식도 반갑다. 위기를 극복할 힘은 공동체를 위한 희생과 헌신, 배려에서 나온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다. 정치권도 힘을 보탰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가 이날 국회에서 코로나19 극복 방안을 논의한 후 초당적 총력 대응, 추경 편성 등 5개 항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방역 역량을 강화하고 피해자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도록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