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확산 여파로 일본까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 대열에 합류했다.
일본 정부는 대구와 경북 청도를 체류한 이력이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26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주재한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NHK와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한시가 위치한 중국 후베이성과 저장성 체류 이력이 있는 외국인 입국을 금지해 왔다. 일본이 중국 외 지역을 입국 금지 체류지로 분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정부는 27일 0시부터 입국 신청 14일 이내 대구와 청도를 방문한 외국인은 입국을 거부했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일본 측으로부터 입국 제한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라는 사실을 사전에 외교 경로를 통해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26일 현재 한국발 여행객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를 시행 중인 국가는 일본을 포함해 베트남 싱가포르 이스라엘 등 17개국에 달한다. 검역 강화 및 격리 조치 등 입국 절차를 강화한 국가는 대만 태국 영국 등 13개국이다. 입국 금지 또는 제한 국가가 30개국인 것이다. 몽골도 곧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를 시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이날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와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과도한 조치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싱 대사는 김건 외교부 차관보와의 면담에 앞서 취재진에게 “중국 정부는 한국 국민에 대해 제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면서 “일부 지방정부가 하는 일은 한국 국민에 한정해 하는 게 아니고 (격리된 이들 중에는) 중국 국민도 많다. 양해하고 이해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싱 대사를 부른 것은 웨이하이시 등에서 한국인 입국자가 사전 협의 없이 격리되는 일이 발생한 데 대한 사실상의 ‘초치’로 해석된다.
중국은 중앙정부 차원의 공식 발표는 없지만 각 지방정부 차원에서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절차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전날 산둥성 웨이하이와 장쑤성 난징 등에서 한국발 항공편 승객들이 강제 격리 조치됐다. 웨이하이에서 벌어진 격리 조치에 대해 외교부는 관할 주칭다오총영사관을 통해 산둥성 지방정부 당국에 유감을 표명했다. 이날도 웨이하이공항에 도착한 제주항공편 탑승객 147명은 일부 탑승자의 발열을 이유로 전원 격리 조치됐다. 이 가운데 한국인은 6명이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