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상시에도 기득권 따지는 대한의사협회

입력 2020-02-27 04:03
하루가 다르게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시민들이 대면 접촉을 극도로 꺼리고 있다. 생필품도 시장이나 마트 대신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외출을 삼가는 일이 보편화됐다. 바이러스 예방과 전염을 차단하기 위한 자구책이다.

가지 않으면 안 되는 꼭 필요한 곳 중의 하나가 병의원이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려도 다른 질환으로 몸이 아프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병원 가기가 꺼림칙하다는 사실이다. 병원 내 코로나19 감염이 염려돼서다. 메르스 사태 때 경험한 바 있고, 이번 코로나19 사태 때도 신천지 다음으로 병원 내 감염사례가 많다. 병원들이 일반 환자와 코로나19 의심환자를 분리해 진료한다고 하나 이들을 100% 구분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가급적 병원에 안 가는 게 최선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조치가 전화 진료·처방이다. 가벼운 증상에 한해 한시적으로 동네병원에서 이를 허용한 것이다. 처방전을 받기 위해 병원을 찾는 사례가 적지 않다. 전화 진료·처방을 하면 그만큼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일 수 있다. 비록 현행법엔 어긋나나 국가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정부의 고육책이다. 그러나 대한의사협회는 일언지하에 거부했다. 코로나19 환자가 전화로 감기 처방을 받고 일상생활을 할 경우 진단이 늦어지고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논리다. 그 이면에는 이번에 전화 진료를 허용하면 자신들이 반대하는 원격진료가 도입될지 모른다는 직업이기주의가 깔려있다.

대구시의사회는 의사협회 방침과 달리 전화 진료·처방의 허용을 촉구했다. 대구시의사회가 상급단체인 의사협회 뜻에 반하는 행동에 나선 것은 현 상황이 그만큼 엄중하다는 얘기다. 대한한의사협회도 동참한 마당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국민 건강권을 위해 정부 조치에 협조하는 게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