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확진자 1000명대, 국가총력 모아야 변곡점 만들 수 있다

입력 2020-02-27 04:01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26일로 1000명을 넘었다. 지난달 20일 국내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지 37일 만이다. 감염 경로가 불분명해 지역 내 감염으로 판단된 신천지 교인 31번 확진자가 나온 18일부터 따지면 불과 8일 만에 환자 수가 30배로 늘었다. 가공할 만한 확산력이다. 25일 대구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주 안으로 확진자 증가세에 뚜렷한 변곡점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에 머물며 범정부적 대응을 지휘하고 있는 정세균 국무총리도 “이번 주가 코로나19 대응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시기”라며 “절대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모든 자원과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주말을 중대한 변환점으로 만들려면 확산세의 중심에 서 있는 대구·경북 지역과 종교집단 신천지에 대한 감염자 조사 및 추가 감염 차단 노력이 당장 필요하다. 이는 숱한 방역 인력과 의료 능력 확충이 요구되는 일이다. 대구·경북 지역 유증상자에 대한 검사와 더불어 신천지로부터 넘겨받은 교인 21만2000명에 대한 전수조사가 진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대구 지역으로 자원해 달려간 의료진이 있지만 방역 인력을 더 늘리고, 의료시설과 장비를 최대한 지원하는 일이 시급하다.

코로나19의 확산세를 꺾으려면 방역 당국과 의료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 상호 간의 유기적인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민들도 개인별 감염예방 수칙을 지키고, 당국에 적극 협조하는 범국가적 총력 대응의 태세가 있어야 한다. 특히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은 총력 태세를 위해 긴요하다. 최근 여당의 ‘대구·경북 봉쇄’ 발언으로 큰 물의가 일었지만 정치인들은 국민을 분열시키고, 분투하는 의료진과 방역당국의 힘을 빼는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언행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이 발언을 계속 물고 늘어지며 민심을 다시 후벼 파는 일도 자제하기 바란다.

중대한 시점에 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의 모임이 성사된 것은 다행스럽다. 28일 국회에서 있을 회동에서 문 대통령과 4당 대표들은 방역 대책과 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 방안, 추가경정예산이나 필요한 법안의 적시 처리 등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비록 총선이 목전에 다가와 있지만, 국민 전체의 안전이 걸린 사안에 정쟁은 접어두는 게 옳다.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놓고 네 탓 공방에 골몰하지 말고 누가 더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내놓는지 경쟁했으면 하는 게 국민의 간절한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