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 방역이 국정 최우선이다

입력 2020-02-25 04:01
코로나19 확진자가 24일 하루에만 200명 이상 증가해 800명대로 불어날 정도로 확산세가 빠르다. 사망자와 위중 환자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대구, 경북 청도 상황이 특히 심각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감염자가 속출하고 있어 전국에 안전지대가 없어졌다. 생산·소비 활동 위축으로 경제적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정부가 전날 오후 감염병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는데 그에 걸맞게 방역활동 및 환자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통상적이지 않은 비상 상황”이라며 “결코 좌고우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경제 상황에 무게를 둔 발언이지만 방역 상황도 그와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특단의 처방’이 필요하다.

의료단체와 전문가들이 거듭 제안한 대로 후베이성에 한정돼 있는 외국인 입국금지 지역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해야 한다. 중국 내 확산세가 꺾였다고는 하지만 23일 하루 동안에만 확진자가 409명, 사망자는 150명 늘었을 정도로 여전히 심각하다. 중국에서는 요즘도 하루 3000~4000명이 입국하고 있고 개학을 앞두고 중국인 유학생이 대규모 입국할 예정이다. 정부는 감염원 외부 유입 차단 중심의 봉쇄전략과 지역사회 확산을 늦추고 중증 환자 치료로 사망을 최소화하는 완화전략의 투트랙을 구사할 방침인데 완화전략이 힘을 받으려면 봉쇄전략이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 보름 정도 한시적으로 입국금지 조치를 하고 상황을 봐가며 지속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중국과 홍콩, 마카오발 입국자에 대해 취하고 있는 특별입국 절차를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일본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길 바란다.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겠지만 지금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국정의 최우선을 방역에 두고 과감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더라도 방역에 실패하면 밑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뿐이다. 방역 전문가들에게 더 많은 결정권을 부여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행정력을 총동원해 이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대구·경북 등 확진자가 다수 발생한 지역에 전담 병원과 병상을 충분하게 확보하고 다른 지역도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선별진료소를 지역마다 추가 확충하고 경증 환자를 음압병실을 갖춘 전문 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방역 인력과 시설 확충에 차질이 없도록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